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대면조사를 진행한 내란특검이 오는 30일 오전 9시 추가 소환하기로 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량이 많이 남은 만큼 소환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백지영 특검보는 29일 대면조사가 끝난 뒤 기자들을 만나 “오는 30일 오전 9시에 다시 출석할 것을 통지했다”며 “외환 혐의와 국무회의 의결 관련 부분이 방대해 추가적으로 조사 과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체포 방해 부분은 경호법상 직권남용, 비화폰 삭제 지시가 전혀 조사되지 않아 30일에 추가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이날 조사에서) 진술 거부하거나 이런 것 없이 질의응답이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오후 9시 50분 조사를 마치고 3시간에 걸쳐 조서를 열람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국(사법연수원 35기)·조재철(36기) 부장검사 조사에 대한 조서에는 서명을 마쳤다고 한다.
특검팀은 추가 소환과 관련해서 ‘공개 소환’을 유지할 방침이다. 박 특검보는 “오늘은 출석 통지하고 끝났고 소환방식에 대해선 별도 논의가 없었다”며 “기본적인 방침은 계속 공개 소환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별도의 이야기는 없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오전부터 저녁까지 합해 총 5시간 5분 동안 피의자 신문을 진행했다. 이날 오전 9시 56분 서울고검에 도착해 10시 14분부터 1시간 정도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으로부터 체포영장 집행 저지 혐의에 대한 조사받았다. 다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오후 조사가 시작되기 전 특검에 파견된 경찰 간부가 불법 체포 혐의로 고발된 상태라며 조사를 거부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과의 3시간 정도의 대치 끝에 체포 저지 혐의 조사를 중단하고 검찰이 주도하는 혐의 조사로 넘어갔다. 오후 4시 45분부터 이어진 조사에서는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이 북한 공격을 유도했다는 의혹이 있는 외환 혐의와 국무회의 상황에 대해 조사했다. 저녁 식사를 위해 7시 25분쯤 중단된 조사는 오후 8시 25분 재개돼 밤 9시 50분쯤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