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는 고대 그리스어에 어원을 두고 있다. ‘류마(rheuma)’는 고대 그리스어로 ‘나쁜 기운이 흐르다’라는 의미다. 좋지 않은 체액이 온몸을 돌아다니면서 인체를 공격하고 통증을 유발한다는 의미다. 이는 현대 의학의 설명과 일맥상통한다. 류마티스는 면역 세포가 피아(彼我) 구분을 하는 능력을 잃고,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적군을 막는 군대가 오히려 아군을 공격하는 셈이다. 류마티스가 관절에서 나타나면 류마티스 관절염, 타액선·눈물샘 등에서 나타나면 쇼그렌증후군, 피부에서 나타나면 피부근육염 등으로 불린다. 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 의료기기 기업들이 잇따라 중남미 시장에 진출했다. 중남미 인구는 약 6억7000만명에 달하는데 의약품과 의료기기 자급률...
사이언스조선 최신 뉴스
차바이오텍은 최석윤 전 메리츠증권 고문을 부회장으로 영입해, 오는 31일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대표이사로 선임한다고 28일 밝혔다. 회사는 최 부회장을 비롯한 새 경영진을 영입해 글로벌 역량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최석윤 부회장은 40여 년간 투자은행 업계에서 일했다. JP모건을 시작으로 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들이 산불 피해 대응을 위한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대형 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기술적인 해법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27일 세종 국책연구단지에서 23개 소관 출연연 기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산불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산불과 재난 관련 연구 현황을 점검하는 대책회의를 주재했다. 김 이...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강현구 건축학과 교수 연구진이 건축·토목 공학 분야 학회인 ‘아메리칸 소사이어티 오브 시빌 엔지니어스(ASCE·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로부터 최우수 논문상(T.Y. Lin Award)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시상식은 내년 미국 보스톤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공동 수상자는 강 교수의 박사 제자...
비만 치료제 시장을 휩쓴 위고비가 배가 부를 때도 음식을 찾는 ‘쾌락적 식사(hedonic eating)’를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만 치료제기 포만감을 느끼게 해 식욕을 떨어뜨려 체중을 줄일 뿐 아니라, 배고픔과 관계없이 즐거움으로 음식을 찾는 음식 중독도 해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콧 스턴슨(Scott Sternson) 미국 샌디에...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을 정확히 골라 제거하는 새로운 나노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김원종 포항공과대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진이 암세포의 핵심 단백질만 제거하는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술을 나노입자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게재됐다. 기존 항암제는 암세포에 필요한 단...
달 탐사에서 로켓만큼 중요한 것이 물이다. 우주비행사의 생존은 물론, 로켓 연료에도 물이 꼭 필요하다. 영국의 한 스타트업이 전자레인지 원리로 달의 얼음에서 깨끗한 물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제 공모전 ‘아쿠알루나 챌린지(Aqualunar Challenge)’는 나이커 사이언티픽(Naicker Scientific)이 초음파 방식으로 얼어붙은 달 토양...
대웅제약이 항암제 신약 파이프라인을 공개한다. 신약 3종 모두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과정으로 암을 치료하는 ‘혁신 신약’이다. 대웅제약은 오는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항암제 신약 파이프라인 3개를 소개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하는 항암제 후보 물질은 표적항암제 ‘DWP216...
정부가 예고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월 말이 다가오면서 일부 대학 의대생들이 복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의대 학생들은 대부분 복귀 의사를 밝혔다. 다만 아직 다른 대학에서는 별다른 행동 변화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28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전원 등록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26~27일 투쟁 ...
여름철 불청객인 진드기를 백신으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내성(耐性)을 가진 사람들은 특이한 면역 반응 덕분에 진드기가 긴 시간 붙어 있지 못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이를 모방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도 개발 중이다. 에롤 피크리그(Erol Fikrig) 예일대 미생물학과 교수 연구진은 진드기가 잘 달라붙지 못하는 사람들은 면역 반응이...
질병관리청이 27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본뇌염을 옮기는 모기가 올해 처음으로 제주도와 전라남도에서 확인되면서다. 질병청에 따르면 제주도와 전남에서 이달 24∼26일 채집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로 확인됐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가 해당 연도에 처음 채집되면 발령된다. 올해 주의보 발령은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