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합방재센터에서 시범 운영 중인 ‘AI(인공지능) 콜봇’ 활용 모습. AI 콜봇은 AI가 긴급한 119 신고를 받아 담당자에게 연결해주는 시스템이다. /서울시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AI)이 119 신고를 받는 시스템인 ‘AI 콜봇’을 시범 운영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AI 콜봇은 AI가 긴급한 사건이나 사고를 분류해 우선적으로 서울종합방재센터 접수 요원에게 연결해 주는 시스템이다. 대형 재난이나 집중호우 등 긴급 상황이 발생해 119 신고가 많이 접수될 때 통화를 대기할 필요 없이 신고 접수를 해주는 것이다.

현재 119신고시스템은 총 720개 회선을 보유하고 있는데, 동시 통화가 집중될 경우 통화량 초과로 ARS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

서울시는 AI 콜봇 도입으로 최대 240건의 대기 신고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 3월 AI 콜봇의 시범 운영 이후 4개월 동안 접수된 신고는 총 1만1434건으로, 이중 긴급으로 분류된 신고 건은 2250건이다.

또 서울시에 따르면 AI 콜봇은 같은 지역에서 비슷한 신고가 다수 접수되면 조기에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했다. 화재, 붕괴 등 복합 재난의 가능성까지 통합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현재 신고 폭주 시에만 운영 중인 AI 콜봇 서비스를 평상시에도 일부 신고 전화(5개 내외)에 적용해 AI 기반 재난종합상황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시스템 구축을 착수해 2026년 하반기 시범 운영을 목표로 한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AI 기술이 시민의 안전 속에서 작동하도록 제도적 기반과 공공 AI 생태계를 조화롭게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