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인 16일 오후부터 전국에 많은 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특히 수도권·강원·충청·전북 지역에선 시간당 30~50㎜의 비가 퍼붓겠다.
1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6일 오후 경기 남부와 강원 남부, 충청 등에 거센 비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까지는 해당 지역에 더해 전북에도 호우가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17일 낮 이후에는 남부지방과 제주 지역까지로 비 내리는 지역이 확대되겠다.
16∼17일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충청 50∼150㎜(경기남부와 충남서해안 최대 200㎜ 이상) ▲강원내륙·강원산지·충북 50∼100㎜(강원중남부내륙과 충북 최대 150㎜ 이상) ▲전북 30∼100㎜(북서부 최대 150㎜ 이상) ▲부산·울산·경남·경북북서내륙 30∼80㎜ ▲광주광역시·전남·대구·경북내륙·경북북동산지·울릉도·독도 10∼60㎜(전남북부서해안 최대 80㎜ 이상) ▲서해5도 10∼40㎜ ▲동해안·제주 5∼40㎜ 등이다.
이런 비는 토요일인 19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비가 그친 이후엔 북태평양 고기압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폭염’이 찾아오겠다. 기상청은 “폭염이 예보된 20일 이후에도 대기 중 수증기가 많아, 대기가 불안정해지는 오후 시간대 소나기가 쏟아지는 일이 잦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상청은 16~19일 내리는 비를 장맛비로 분석했다. 최근 2주 가까이 지속된 폭염에 이어 장맛비가 되살아난 것이다. 기상청은 앞서 제주와 남부지방에 대해 각각 지난달 26일, 지난 1일 ‘장마 종료’를 선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남부지방과 제주의 비는 열대 수증기 영향이 더 커 장마 종료일이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부지방은 아직 장마 종료가 선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예보대로라면, 중부 장마 종료일은 최소 이달 19일 이후로 넘어감에 따라, 올해 장마는 통계가 있는 1973년 이후 중부와 남부의 장마 기간이 가장 많이 차이 나는 장마로 기록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