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마포구 홍대 부근 거리에 설치된 전광판에 기온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과 자원을 총동원해 현장 밀착형 폭염 대책을 즉각 시행해달라”고 했다. 현재 해외 출장 중인 그는 서울의 폭염 상황을 접하고 행정 1·2부시장에게 이날 이렇게 말했다.

앞서 전날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7.8도였다. 지난 1907년 기상 관측을 기상한 이후 7월 초 기준 가장 더운 날로 기록된 것이다.

이에 서울시는 이날 ‘긴급 폭염대책 상황 점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1·2, 정무 등 부시장들과 재난안전실장, 소방재난본부장, 복지실장, 교통실장 등 12개 실·국장이 참석했다.

서울시는 우선 온열질환 등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방·의료·구호 등 전 분야에 걸쳐 비상 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 70여곳과 자치구 보건소와 협조해 온열질환자 발생 시 119구급대의 신속한 이송과 치료가 이뤄지도록 한다.

폭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대책도 내놓았다. 취약 어르신 3만 9000명에게 전화와 방문을 통해 정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폭염특보 발령시에는 격일 또는 매일로 횟수를 늘린다. 무더위쉼터 3751곳에 대한 냉방기 가동 여부 등도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아울러 외부에서 일하는 폐지 수집 어르신 3100여 명에게는 쿨토시·쿨타월 등의 물품을 지급한다. 탑골공원에는 아리수 냉장고를 설치해 매일 1000병의 냉장 아리수를 제공할 예정이다.

노숙인 피해 예방을 위한 ‘혹서기 응급구호반’도 운영한다. 52개조, 123명이 서울역 등 노숙인 밀집 지역을 하루 4회 이상 순찰할 계획이다. 쪽방촌 주민을 위한 무더위쉼터 7개소와 밤더위 대피소 6개소도 9월까지 개방한다.

서울시 발주 공사장과 자치구·공사·출연기관 등에 온열질환 예방 5대 기본 수칙도 공유한다. 중대재해감시단을 구성해 시내 공공·민간 건설공사장 300여개소를 대상으로 수칙 이행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폭염에 야외에서 일하는 공사장 근로자들은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도심 열섬 현상 완화를 위해 도로의 온도를 직접 낮추는 ‘물 청소차’ 운영도 늘린다. 여름철 평시 일 1~2회, 폭염특보 시 일 3~6회 운영했던 것을 폭염특보 지속 시 일 최대 8회까지 운영한다. 이를 위해 25개 자치구에 민간 살수차 투입을 위한 재난관리기금 12억4000만원을 긴급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