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증권(001750) 노사가 오는 8월부터 단체협상에 돌입한다. KCGI가 한양증권을 인수하고 진행하는 첫 교섭이다. 노조가 매각 위로금 지급과 구조조정 방지 등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사측과 입장 차이를 좁힐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양증권 사옥. /한양증권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양증권 노사는 오는 8월 첫째 주 상견례를 시작으로 단체협상 교섭을 한다.

최대 쟁점은 ‘매각 위로금’이다. 보통 인수·합병(M&A)이 마무리되면 경영권을 매각하고 떠나는 측에서 직원들에게 보상 차원으로 매각 위로금을 준다. 매도·매수인이 반반씩 부담하거나, 매수인이 지급하기도 한다. KCGI가 2023년 메리츠자산운용(현 KCGI 자산운용)을 인수했을 때도 기존 직원들은 매각 위로금을 받았다.

문제는 KCGI가 한양증권을 품는 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으면서 관련 논의가 명확히 이뤄지지 못했다는 점이다. KCGI는 지난해 9월 한양학원과 한양증권 주식 매매 계약(SPA)을 체결하고, 올해 1월 금융위원회에 한양증권 대주주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 하지만 지난 3월 국세청이 KCGI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하면서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지연됐다. 세무조사가 약 2개월 만에 끝나고 6월에서야 금융위의 최종 승인을 받을 수 있었다.

한양증권 노조는 강성부 KCGI 대표로부터 직접 매각 위로금과 고용 보장 관련 약속을 받았었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0월 노조와 KCGI 간 고용 안정과 임직원 성과 배분 등의 내용을 담은 ‘노사 상생 발전 협약서’도 체결하려 했었다고 한다.

최광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한양증권지부 지부장은 “지난해 9월 강성부 대표에게 직접 연락이 와서 만났고, 당시 그는 ‘한양학원과 위로금에 관한 부분을 서로 협의해서 절반씩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위 심사가 길어지는 동안 노사 상생 발전 협약서가 흐지부지됐고, 김병철 한양증권 신임 대표가 부임한 뒤 매각 위로금을 지급할 책임은 한양학원에 있다는 식으로 태도를 바꿨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노조는 지난해 구두 합의를 믿고 M&A 반대 의사를 철회했던 만큼 약속이 지켜져야 한다고 했다. 최 지부장은 “강성부 대표에게 구체적인 위로금 규모와 지급 기준에 대해 묻자 ‘인수가 끝나면 향후 신임 대표와 논의해 보시라’고 제안했다”며 “관련 녹취본 또한 확보해 둔 상태”라고 했다.

한양증권이 조직 안정을 위해 내놓은 사내 복지제도 개선안이 된서리를 맞기도 했다. 한양증권은 건강검진 주기를 기존 2년에 한 번에서 1년에 한 번으로 바꾸고, 개인연금과 미성년 자녀 대상 ‘KCGI 주니어펀드’ 가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현금 위로금 대신 복지 제도 개선안으로 갈등을 무마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한양증권 측은 단체교섭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최근 노조가 문제 제기한 매각 위로금은 이해관계자인 한양학원 측과 우선 논의했어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한양증권은 또 “현재 조직 안정에 주력하고, 새로운 대주주 및 경영진과 함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