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기준 기관전용 사모펀드의 투자 집행 규모가 24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5.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인수합병(M&A) 시장 침체의 영향이다. 사모펀드 수와 약정액은 중소형 펀드를 중심으로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대형 운용사 선호 현상이 심화되면서 업계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깃발이 휘날리고 있다./뉴스1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기관전용 사모펀드가 1137개로 전년 대비 11개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약정액은 153조6000억원, 이행액은 117조5000억원으로 각각 12.6%, 18.8% 증가했다.

금감원은 “기관전용 사모펀드 시장은 펀드 수, 약정액, 이행액 증가와 함께 외적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다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시장 침체로 신규 투자 집행 감소 등 성장세는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GP)는 437곳으로 전년 대비 15곳이 늘었다. 규모 별로는 대형 GP가 40곳, 중형GP가 155곳, 소형GP가 242곳이다.

신설 펀드는 173개로, 전년 147개 대비 17.7%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규 약정액도 18조7000억원에서 19조2000억원으로 2.7% 증가했다. 다만 경기 침체로 인한 대형 투자가 감소하면서 대형 펀드의 신설 건수와 출자 규모는 감소했으며, 중소형 펀드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투자 집행 규모는 오히려 감소했다. 지난해 24조1000억원이 투자돼 전년(32조5000억원) 대비 25.8% 감소했다. 투자 대상 별로는 제조업 등 5개 업종에 총 집행금의 90.2%가 몰렸다. 이 중 하수·폐기물처리·재생업에 대한 투자는 6000억원에서 3조3000억원으로 450% 급증했다.

금감원은 “경기 불황 지속과 불확실성 증가에 따라 기관 투자자들의 보수적 투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며 “대형GP 선호 경향, 신규GP의 지속적 시장 진입으로 업력이 부족한 중소형GP간 경쟁 심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