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이 기사는 2025년 7월 15일 16시 23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SG PE와 SKS PE가 창원에너텍 매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에코비트와 KJ환경, 제이엔텍 등 폐기물 업체 인수·합병(M&A)이 활발했지만, 실적이 꺾인 기업들은 기업가치가 하락하며 마땅한 인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G PE-SKS PE 컨소시엄은 창원에너텍을 인수할 기업을 4년째 물색하고 있다. 창원에너텍은 사업장 폐기물과 폐기물 고형연료(SRF) 소각으로 발생한 열에너지로 스팀을 생산·판매하는 폐기물 중간처리 기업이다. 지난해 젠파트너스가 인수하기로 했으나, 매각이 결렬됐다.

젠파트너스는 창원에너텍을 13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까지 체결했으나, 실적 부진 여파에 자금 조달에 실패했다. 창원에너텍은 2022년만 해도 에너지 단가 상승으로 4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흑자를 냈으나 2023년 1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고, 2024년엔 손실 폭이 40억원까지 커졌다. 같은 기간 당기 순손실은 41억원에서 78억원으로 늘었다.

지속 상승하던 폐기물 처리 단가가 하향 추세에 접어든 가운데 폐기물 원물 단가마저 상승한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창원에너텍 인수 후 볼트온(bolt-on·동종 업체들을 인수해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합병하는 일)으로 사들인 한남환경이 23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

창원에너텍은 수집·운송·처리를 위한 밸류체인을 구축하기 위해 2021년 폐기물 수집·운송업체인 대부개발을 156억원에 인수했고, 2022년 경북 영천에 있는 폐기물 수집·운송업체 한남환경을 114억원에 사들였다.

IB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을 기점으로 배달 용기 등 폐기물 물량이 급증한 탓에 인허가가 어려운 매립지 용량 확대가 많이 이뤄졌다”며 “폐기물 처리 능력은 확대했는데, 수요는 줄어 처리 단가가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볼트온까지 단행하며 기업가치 제고에 힘썼지만, 실적은 악화하면서 창원에너텍 매각은 한동안 표류할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IB 업계 관계자는 “폐기물 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적인 현금흐름인데, 적자 기업을 매각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미 볼트온까지 진행한 만큼 기업가치를 올릴 여지가 적어 보인다”고 전했다.

SG PE-SKS PE는 2022년 상반기 회계법인 삼일PwC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매각을 추진해 왔다. 당시 폐기물 업체에 대한 인기가 치솟았고, 창원에너텍의 실적도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여러 원매자가 인수를 추진했다. 그러나 인수자와 매도자 간 가격 눈높이가 맞지 않아 매각에 실패했다.

SG PE-SKS PE는 창원에너텍을 2019년 인수한 만큼 매각에 속도를 내야 하는 상황이다. 당시 420억원을 투자해 창원에너텍 지분 100%를 사들였다. 구주 인수와 함께 240억원의 전환사채(CB)도 취득했다. 인수를 위해 SKS PE가 300억원대 프로젝트 펀드를 결성했으며, SG PE가 200억원대 자금을 투입했다. 나머지는 SKS PE와 신영증권 PE가 공동 GP로 결성한 블라인드 펀드를 활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