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권 금융의 ‘마지노선’인 대부업체 수가 줄어들면서, 이용자 수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여파에 자금 조달 비용은 늘었으나 법정 최고 금리(연 20%) 규제로 수익성이 악화해 대부업체들이 속속 문을 닫고 있어서다. 그나마 남은 대부업체들조차 대출을 늘리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29일 발표한 ‘대부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부업체 수는 8182개로, 지난해 6월 말(8437개) 대비 255개 감소했다. 2023년 6월 말 8771개였던 대부업체수는 1년6개월만에 600여개가 줄었다.
대부업체 이용자수는 70만8000명으로, 지난해 6월 말과 비교해 6000명 감소했다. 2022년 말 98만9000명이었던 대부업체 이용자수는 2년새 28% 급감했다.
반면 대출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2조3348억원으로 같은 기간 1243억원(1.0%) 증가했다. 대출잔액은 2022년 말 15조9000억원에서 2023년 말 12조5000억원으로 급감한 뒤 감소세를 이어가다, 소폭 늘었다. 금감원은 “중·소형 대부업자의 담보대출이 증가해 대출잔액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자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12.1%로 작년 6월 말(13.1%)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대부업체 연체율은 2021년 말 6.1%에서 2022년 말 7.3%, 2023년 말 12.6%로 뛴 데 이어 작년 6월 말엔 13.1%로 2010년 대부업체 연체율 집계 시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감원은 “대부업권의 저신용자 신용 공급 현황을 자세히 감시하는 한편, 불법 채권추심 등 대부업자의 불건전 영업 행위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