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원이 AI 작업을 위해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내세웠다.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세계 3대 인공지능(AI) 강국을 뒷받침 하기 위한 인재 양성과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뜻이다.

KAIST는 24일 보도자료를 내고 한국이 AI 주요 3개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전 국민이 소외 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I 기본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KAIST가 주관하는 ‘국가AI연구거점’ 사업을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데 매진하겠다는 계획이다.

KAIST는 머신러닝 분야 최고 3대 학회(ICML, NeurIPS, ICLR)에서 최근 5년간(2020~2024)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AI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같은 기간동안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컴퓨터비전 톱 학회 논문 수 기준으로 세계 5위, 아시아 4위를 기록했다.

초거대 AI 모델(한국형 LLM),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AI 기술 개발과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정밀의료, 설명 가능한 AI(XA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제조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과 AI 기반 예측 기술, 초저전력 무선 태그 기술 등 제조업 분야에서도 AI 기술을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AI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 로봇 분야에서도 KAIST 연구진이 뛰고 있다.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팀은 재난 구조, 험지 탐사, 등 고위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 2’를 새롭게 개발했고, 공경철 교수팀과 엔젤로보틱스는 외골격 로봇 ‘워크온 슈트’를 개발해 하반신 완전마비 또는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대한민국과 인류의 미래를 설계하고 실질적인 가치를 만들어내는 글로벌 과학기술 리더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G3 AI 강국 실현을 위하여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KAIST가 특히 역점을 두는 AI 분야에 대한 비전은 모든 사람이 AI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AI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피지컬 AI, AI 로봇, AI 모빌리티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극 보급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