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전국 집값이 다시 상승전환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비롯한 서울 지역에서 상승폭이 대폭 확대되면서 전국 집값 상승세를 이끌었다.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매매가격은 한 달 전보다 0.14% 올랐다. 전월 0.02% 하락에서 상승전환했다.

서울은 0.95% 올라 전월(0.38%) 대비 상승폭이 대폭 확대됐다. 수도권(0.10%→0.37%)은 상승폭 확대, 지방(-0.12%→-0.09%)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서울 개별지역은 송파구(2.38%)가 잠실·신천동 대단지 위주로, 강남구(2.20%)는 압구정·개포동 위주로, 서초구(2.11%)는 잠원·반포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1.70%)는 명일·고덕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1.17%)는 흑석·대방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북지역에서는 성동구(2.17%)가 행당·옥수동 주요단지 위주로, 마포구(1.66%)는 대흥·공덕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용산구(1.62%)는 이태원·이촌동 위주로, 광진구(0.77%)는 광장·자양동 학군지 위주로, 서대문구(0.55%)는 북아현·남가좌동 위주로 상승했다.

특히 강남3구와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의 상승폭이 컸다. 강남3구와 용산구는 집값 이상 급등 현상으로 지난 3월 24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지만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경기도는 0.11% 오르면서 전월(-0.05%) 대비 상승전환했고, 인천은 0.08% 내려 전월(-0.07%) 대비 하락폭이 확대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소재 주요 신축‧재건축 단지 등은 높은 선호도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구축‧외곽지역 소재 단지 등은 상승폭이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 매매는 전국적으로 비역세권, 구축 단지 등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지만, 서울‧수도권에서는 신축, 재건축, 개발사업 수혜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전국 집값이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전국 전세가격은 전월 보합(0%)에서 이달 0.03% 올라 상승전환했다. 수도권(0.06%→0.11%) 및 서울(0.15%→0.2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5%→-0.04%)은 하락폭 축소됐다.

전국 월세가격은 0.06% 올라 전월(0.05%)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0.10%→0.12%) 및 서울(0.16%→0.24%)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0%)은 상승에서 보합 전환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외곽지역이나 노후화 단지에 대한 수요가 한정적이지만, 매매가격 상승에 따른 임차 수요 증가와 역세권‧학군지 등 정주여건 우수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전세는 상승 전환했고, 월세는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