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재건축·재개발 초과이익환수제, 용적률 완화 등의 재건축 규제 완화와 관련해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민간의 이익과 공공의 이익을 균형 있게 할 필요가 있어 공공의 이익을 잘 살펴서 진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15일 오전 경기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을 하며 기자들과 만나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국토부 장관을) 맡게 돼서 어깨가 무겁다. 많은 분들과 의논해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친이재명계 핵심으로 꼽히는 3선 의원으로 지난 11일 이재명 대통령이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했다. 2014~2016년, 2020~2022년 두 차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활동을 경험했다.
김 후보자는 주택 공급 대책과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이 있다기보다 일단 3기 신도시 진행 과정을 살펴보겠다”며 “신도시를 추가로 만드는 것보다 활용 가능한 여러 부지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도 예고했다. 김 후보자는 “(이 대통령이) 수동적인 형태보다는 적극적으로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대표적으로 LH(한국토지주택공사) 개혁 같은 경우도 직원 문제를 떠나서 구조적이고 뭔가 판을 바꿀 수 있는 큰 규모의 개혁을 염두에 두면서 능동적이고 공격적으로 임해 달라 이런 정도의 주문을 받았다”고 밝혔다.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이후 추가 규제 여부에 대해서는 “규제 발표된 후에 여러 가지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국토부가 자체적으로 결정하기보다는 금융 당국과 협의하면서 결정돼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등 추가 규제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 이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말하기보다는 협의를 많이 해봐야 한다”며 “실무자의 업무 보고를 받으면서 구체적인 논의를 하고 준비해 인사청문회 자리에서 의견을 나누겠다”고 했다.
또한 정치인 출신으로 국토·교통 분야 전문성 부족 우려가 나오는 것에 대해 “국회 국토교통위원을 4년 했는데 전문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고 많이 부족하다”며 “다만 (이재명 대통령이) 국토부 장관 후보로 지명한 뜻을 생각해보면 다양한 형태의 지혜가 필요하다는 의미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탁상 위에서 부동산 문제에 대한 정책을 내기보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현장을 다니면서 다양한 학계와 전문가, 현직 국회의원으로서 여야의 의사를 잘 반영하고 다양한 의견과 가치를 모아서 그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하라는 주문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