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부동산 정책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시장 모니터링 체계를 개편한다.

22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최근 이런 내용의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개편안’을 시의회에 보고했다.

경기도 성남시 청계산 매바위에서 바라본 서울 강남구(아래)와 한강 이북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지난 5월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지원센터가 확대 개편된 조직이다. 부동산금융분석팀이 추가되고, 외부 전문 인력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번 개편안은 센터가 분석하는 자료의 범위를 넓히는 내용이 담겼다. 다른 기관 지수와 서울형 가격 지수에 더해 사업지별 실거래 평균거래가격도 분석하기로 했다.

거래량은 매매·전월세 거래량과 매물량뿐 아니라 입주권·분양권 거래와 경매 거래량도 추가로 살필 계획다. 주택금융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금리 외에 시중은행 대출금리, 정책금융, 은행별 내부 주택담보대출 관리 내용도 분석 대상에 포함한다.

부동산 심리조사 대상은 현행 서울지역 중개사 460명과 전문가 40명에 서울과 연접한 10개 시 100명의 공인중개사와 금융권 전문가 10명을 추가할 방침이다.

거시경제 분야는 기준금리, 물가, 통화량, 가계부채에 더해 경기지수(선행·동행)와 가계금융복지조사도 참고한다.

이밖에도 센터는 지금까지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지의 계획수립과 인허가 관련 의견 제시 대상 기준을 2000가구 이상에서 1000가구 이상으로 확대한다.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자 센터는 본격 분석 작업에 착수했다. 최근 센터는 국토교통부에 1~5월 서울시 내 모든 아파트 매매·전세 계약의 실제 주소 정보를 요청했다.

앞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오르면서 시는 후속대책으로 부동산정책개발센터를 출범하는 등 조직 개편을 했다.센터 산하의 기존 주택시장분석팀은 ‘부동산정책분석팀’과 ‘부동산금융분석팀’으로 세분돼 정책·금융 분야별로 담당 인력을 늘리고 전문성을 키웠다.

주택실 주택정책과에는 ‘부동산제도팀’이 신설돼 기존 도시공간본부에서 다루던 토지거래허가구역 검토와 입안 업무가 이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