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을 사려는 소비심리지수가 한 달 만에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아파트의 모습. /뉴스1

17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5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에 따르면 서울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31.5로 전월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지수는 올해 1월 110.4에서 2월 124.7, 3월 136.1로 계속 올라갔다. 이후 4월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지정되면서 120.5로 내려갔다. 하지만 최근 서울 집값이 꿈틀거리면서 한 달 만에 지수가 다시 상승했다.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전월보다 가격 상승·거래 증가 응답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95 미만이면 하강 국면, 95 이상~115 미만이면 보합 국면,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분류한다.

수도권 지수도 118.3으로 상승 국면으로 진입했다. 전국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3을 기록했다. 전월(108.7)보다 4.3포인트(p) 올랐지만 보합 국면에 해당한다.

세종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5월 133.2로, 한 달 전(157.6)보다 24.4p 하락했다. 대선 국면 동안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한 풀 꺾인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5월 19일부터 6월 10일 사이 이뤄져 6·3 대선 이후 심리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