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과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대형건설사들이 ‘공공재개발’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그간 공공이 주도하는 사업은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로 중소·중견 건설업체가 주로 참여했다. 공공공사비가 오른 데다 인허가 속도가 빠르고 자금 확보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대형 건설사들도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10일 LH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지난달 18일 서울 중화5구역 공공재개발 사업을 수주했다. 서울 중랑구 중화동 122번지 일대에 지하 4층~지상 35층, 아파트 14개 동, 1610가구를 신축하는 공사다. 공사비는 6498억원이다.
그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이 주도하는 공공사업은 주로 중소·중견건설사들이 참여해왔다. 공사비 단가가 낮아 수익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었다. 공공재개발은 2020년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 중 하나로 추진되기 시작했다. 공공이 용적률 상향 등 규제완화, 시행인가 통합심의 등 절차 간소화, 기금 지원 등 공적지원을 받아 정체된 정비사업을 정상화 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공재개발의 시공사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주민대표회의가 경쟁입찰방식으로 참여자를 모집하고, 토지 등 소유자의 투표를 거쳐 사업시행자인 LH에 시공사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선정된다. 이후 LH와 시공사가 공동사업시행 협약을 맺고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지난달 전농9구역의 공공재개발 정비사업을 따냈다.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103-236 일대 지하 4층~지상 35층 규모의 아파트 9개 동, 총 1159가구와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총 공사비는 4400억원이다.
업계 선두인 삼성물산 건설부문도 공공재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지난해 8월 GS건설과 공동으로 서울 송파구 ‘거여새마을’ 구역의 시공을 맡기로 했다. 이 구역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 처음으로 공공재개발 방식을 택한 곳이다. 거여새마을은 5호선 거여역 인근에 지상 최고 35층, 12개 동, 1678가구를 짓는 사업으로 총공사비는 7000억원이다.
삼성물산은 2022년 7월과 10월 영등포구 양평13구역 공공재개발, 동작구 흑석2구역 공공재개발의 시공사로도 선정됐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은 인허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면서 “사업성에서도 장점이 있어 참여하게 됐다”고 했다.
이처럼 대형건설사들이 민간재개발뿐만 아니라 공공재개발에 뛰어드는 건 수익성이 과거에 비해서 높아졌기 때문이다. 서울 공공재개발 사업 예정 공사비는 2023년 3.3㎡당 약 500만원에서 지난해 약 800만원으로 뛰었다. LH는 공공재개발의 공사비를 3.3㎡당 평균 700만~780만원으로 밝혔다.
LH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의 활성화를 위해 공사비 등의 기준을 표준화해 민간이 참여 가능하도록 했다”면서 “간담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고 국토부의 정비사업 표준공사 계약서의 주요내용 등을 최대한 반영해 시공사의 리스크를 최대한 방지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