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에서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자진사퇴 여론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이르면 이번 주말께 이들의 거취에 대해 결단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17일 현재 대통령실과 여당은 모두 공개석상에선 “기류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두 후보자에 대한 대통령실 기류가 달라졌다는 언론 보도를 부인하며 “아직 특별한 기류 변화가 없다”고 했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도 이른 오전 출입기자단 공지를 통해 “강선우 후보에 대해 자진사퇴로 대통령실 분위기가 기울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면서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에 변함 없다”고 했다.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한 것이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 입장도 그간 입장에서 바뀐 건 없다”면서 “후보자를 임명할지 판단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하는 것”이라고 했다.

결국 두 후보자가 자진사퇴하지 않는 한, 임명권자인 이 대통령이 결단해야 하는 상황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청문회 과정에서 나온 여러 쟁점에 대해 일일 보고를 받고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6명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모두 마무리되는 오는 18일 이후에는 종합 보고를 받을 예정이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청문회가 마무리되는 금요일(18일) 이후 대통령께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 보고할 계획”이라며 “종합 보고 이후 대통령께서 인사권자로서 일정한 판단을 하실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주말께 두 후보자의 자진사퇴 또는 지명 철회 여론에 대해 이 대통령이 판단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대통령으로선 초대 내각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인사 검증 부실 비판과 함께 임기 초반 국정 운영 동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 일각에서도 후보자 낙마를 계기로 야당에 정국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

반면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는 것보다 여론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야 국정운영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인사청문회가 끝난 뒤에도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못하면서 두 후보자에 대한 사퇴 요구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원조 친명(친이재명)계인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17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와 관련해) 피해를 봤다는 분들의 의견을 분명히 청취해 볼 필요가 있고, 국민 여론, 국민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같은 당 김상욱 의원은 “이 후보자는 교육부 장관으로서 직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공개적으로 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