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외교 통일 분야를 포함해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선을 단행했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대통령실에서 이러한 인선을 발표했다.
우선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는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했다. 5·16 군사쿠데타 이후 민간인 출신을 국방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는 민주당 정동영 의원,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는 조현 전 외교부 1차관을 지명했다.
강 비서실장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외교부 1, 2 차관을 역임하며 양자, 다자 외교 경험이 풍부하다”고 했다. 외교부 국장을 경험에 통상 문제에도 전문성을 갖고 있고, 중동분쟁 등 당면 현안도 적극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라고 덧붙였다.
정동영 후보자에 대해선 “누구보다 풍부한 경험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가진 인물”이라며 “북한과 대화 여건을 조성하고 한반도 긴장 완화 돌파구를 마련할 적임자”라고 했다.
안규백 후보자는 국회 국방위원회 간사와 위원장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강 비서실장은 “5선 국회의원 이력 대부분을 국방위에서 활동해 군에 대한 이해도가 풍부하다”라며 “64년 만에 문민 국방부 장관으로 계엄에 동원된 군의 변화를 책임지고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역 여당 의원들의 발탁도 눈에 띈다. 정동영 후보자와 안규백 후보자 외에 환경부 장관 후보자로 김성환 의원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에는 전재수 의원,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강선우 의원을 각각 낙점했다.
전 의원은 부산을 지역구로 둔 3선(부산 북구갑) 의원으로, 21대 대선에서 북극항로개척추진위원장을 지냈다. 강 비서실장은 이 같은 이력을 들며 “해수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이란 대통령의 공약을 실천할 최적의 인사”라고 평가했다.
김성환 후보자에 대해선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등 미래 환경 문제를 지속적으로 고민해온 3선 국회의원”이라며 “기후 위기는 모두의 생존의 위기라는 대통령의 문제 의식을 잘 이해하고 그동안의 입법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문제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선우 지명자에 대해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및 여성가족위원회 등을 거치며 사회적 약자의 권익 보장을 위해 활동해온 정책 전문가”라며 “소통과 경청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 갈등 문제를 해결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는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로는 한성숙 네이버 고문을 지명했다.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는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에는 권오을 전 의원을 낙점했다.
강 비서실장은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는 AI 학자이자 기업가로서 초거대 AI 상용화로 은탑산업훈장을 받은 인물”이라며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함께 AI 국가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선 “라인, 네이버 웹툰 등에서 혁신을 이끌었고 ‘포춘인터내셔널 파워우먼 50’에 4년 연속 선정된 인물”이라며 “관련 분야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이해도를 바탕으로 중기부 육성 전략에 새로움을 더할 것”이라고 인선 배경을 밝혔다.
김영훈 후보자에 대해선 “민주노총 위원장을 역임하며 노동 문제를 대변해온 인물”이라며 “산업재해 축소와 노란봉투법 개정, 주 4.5일제 등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번에 인선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송미령 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이다.
강 비서실장은 “송 장관의 유임은 보수, 진보 구분 없이 기회를 부여하고 성과와 실력으로 판단하겠다는 것으로 이재명 정부의 국정 철학인 실용주의에 기반한 인선”이라고 덧붙였다.
국무조정실장으로는 윤창렬 전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임명됐다.
강 비서실장은 “11명 장관 후보자는 소관 분야서 대통령 국정철학을 구현할 분들”이라며 “실용과 효능감을 강조하는 대통령 철학에 따라 성과를 만들어가는 행정부를 만들어 갈 것이며 특히 국익 외교와 한반도 긴장 완화, 군 개혁, 기후위기 준비, 북극항로 개척 등 분명한 미션을 부여 받았기에 가시적인 결과물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번 인선에서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은 제외됐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국민추천을 받아 분석해서 의견을 담아 하다 보니 (인선이) 조금 지연되고 있다”라며 “머지않은 시간에 나머지 인선도 발표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