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기획위원회는 향후 교육 전 단계를 다룰 수 있는 인공지능(AI) 인재 양성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가운데)이 18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업무보고에서 회의 시작전 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뉴스1

국정기획위는 이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교육부로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AI 교육 방향과 관련해 초·중등 교육에서부터 과학·기술·공학·예술·수학(STEAM) 교육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 사회2분과 위원과 교육부 간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관련으로는 “거점 국립대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역 균형 발전을 고려해 교육-취·창업-정주까지 지역에서 할 수 있도록 선순환 고리를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국정기획위는 이날 소방청 업무보고를 통해 기후 위기에 대한 소방청 차원의 대응 전략 마련, 연구·개발(R&D) 강화를 통한 소방 장비 첨단화, AI를 활용한 119시스템 고도화, 국립소방병원의 차질 없는 개원, 재외국민 보호를 당부했다.

최근 영남권 대형 산불에 관해서는 소방청과 산림청 간 지휘 체계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방청은 기후 변화로 시도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대형·복합재난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재난 대응을 위해 국가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국정기획위에 보고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이날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때보다 공약 이해도와 충실도가 떨어진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