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대통령 임기가 시작되는 오는 5월 10일 청와대 내 대통령 관저까지 개방할 것이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 “관저를 열고 닫고, 비서동을 열고 닫는 문제는 앞으로 시기에 따라 진전이 되면서 그 논의(결과)를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청와대와 인수위가 정권 교체기에 대통령 집무실의 이전을 놓고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용산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청와대는 촉박한 시일 등을 이유로 사실상 반대 입장을 내놨다. 사진은 지난 22일 청와대 모습. /뉴스1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정례브리핑을 마친 뒤 ‘오는 5월 10일 청와대 내 관저 개방은 사실이 아니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계획이 어떻게 되냐’는 물음에 이렇게 답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22일) 저희는 무서운 세입자가 아니라고 말했는데, 그렇다면 무서운 집주인이 아니냐고 반문하는 분들도 계시더라”라면서 “집주인은 늘 국민이고, 저희는 국민이라는 집주인에 (얹혀) 사는 세입자일 뿐”이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 한 언론보도에서 윤 당선인 측 관계자가 ‘건물 내부는 손봐야 하지만 국민께 보여드리기 위해 잠금장치를 해서라도 즉시 개방할 예정’이라고 한 것을 언급하고는 “그렇게 하지도 않을 것”이라면서 “5월 10일은 전임 정권의 임기가 마무리되는 날이지 저희가 해왔던 배려와 정치가 마감하는 날은 아니다”라고 했다.

전날 당선인 대변인실은 기자들에게 보낸 공지글을 통해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5월 10일 취임 당일 청와대 관저를 당장 개방한다는 내용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는 가능하지도 않고 고려하고 있지도 않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