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퇴임 이후 새로운 비대위를 구성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당 일부에서 거론되는 집단지도체제와 관련해 차기 당권 주자 사이에선 반발도 나왔다.
국민의힘은 27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다음 달 1일 비대위 구성을 위한 전국위 소집 안건을 의결했다. 해당 안건은 자동응답전화조사(ARS) 투표로 상임전국위원 37명 중 35명(94.6%)이 찬성해 통과됐다.
국민의힘은 전국위에서 비대위 설치와 비대위원장 임명을 의결한다. 또 전국위를 개최하기 전 의원총회를 열어 송언석 원내대표가 약 두 달 동안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도록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 구성되는 비대위는 오는 8월에 개최될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구성과 전당대회 시기, 룰 등을 결정한다. 전당대회 준비 과정에서는 ‘단일체제’와 ‘집단체제’ 등 지도체제에 대한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 단일체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을 따로 진행하고, 집단체제는 경선에서 최다 득표자가 대표최고위원, 차순위 득표자는 최고위원이 된다.
차기 당권 주자들은 당대표의 권한이 축소된다는 측면에서 집단지도체제에 반발했다. 지도체제 전환에는 당내 주류세력이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의중이 반영됐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친한(親한동훈)계 정연욱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누가 책임을 지는 각오로 당권을 쥐고 당을 운영하고, 그에 대해 책임지는 체제로 가야 한다”면서 “이런 논의는 특정인을 겨냥했다는 지적과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문수 전 후보의 비서실장이었던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YTN라디오에서 “지도체제를 바꾸겠다는 이야기에 대해 일각에서 ‘누군가 기득권을 유지하려 한다’ 또는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라는 음모론도 나온다”고 했다. 당권 도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는 안철수 의원도 페이스북에 “우리 당의 혁신을 위해서 집단지도체제는 안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