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과 이란의 보복 공격 등 긴박한 국제 정세와 관련해, 24일 우리 안보와 경제에 미칠 영향을 논의했다.

임웅순 국가안보실 안보2차장(오른쪽)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등과 중동발 위기 관련 긴급 안보 점검회의를 마친뒤 국회를 나서고 있다. /뉴스1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약 1시간 정부와 비공개 긴급 안보점검회의를 열고 최근의 중동 사태 현황에 대해 보고 받았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중동 정세 동향과 관련해 6월 12일 이스라엘이 이란 군사 시설을 공습하며 제기된 상황들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 상황을 브리핑해 줬다”며 “이후 국제사회 동향과 관련해 미국과 기타 중동 국가들의 여러 반응에 대해서도 설명해 줬다”고 전했다.

이어 “정부는 현재 대통령실을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비상대응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재외국민 보호, 경제 안보, 선박 및 항공 안전 문제에 집중하면서 현 상황에 대해 엄중하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여당 측 참석자들은 “중동 상황이 동아시아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정부 당국이 조금 더 면밀하게 당에 필요한 상황들을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회의에는 여당에선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김병주·전현희 최고위원, 진성준 정책위의장, 원내 수석부대표 등이 참석했다. 정부 측에선 국가안보실 2차장, 정광용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이 자리했다.

이스라엘-이란 사태는 이스라엘이 지난 13일 새벽(현지시각) 이란의 핵시설과 군사시설 등을 전격적으로 공습하면서 시작됐다. 양측이 공습과 보복을 이어가다 지난 21일 미국이 이란의 핵시설 3곳을 정밀타격하면서 중동 간장은 최고조에 달했다. 미국 공습에 대한 보복으로 이란은 23일 카타르 주둔 미군기지(알우다이드 공군기지) 등에 미사일 공격까지 감행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로 두 국가는 이날 잠정 휴전에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