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3일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책으로 꼽히는 ‘RE100′에 대해 “좋은 구호이긴 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라며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했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력의 100%를 친환경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지열 등)로 대체한다는 내용의 자발적 선언 캠페인이다.
김 후보는 이날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선 후보자 2차 TV토론회에서 ‘글로벌 기업의 RE100 수요에 맞추려면 우리 기업도 재생에너지를 생산해야 하는데, 원전 비중을 60%까지 올리면 글로벌 수요를 어떻게 감당하느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질문에 “그 자체는 좋은 구호이지만 RE100이 될 수는 없다”며 이렇게 답했다.
김 후보는 “이것은 상당한 시간이 지나기 전에는 (실현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장 가능한 것처럼 말하는 것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했다. 또 “원전의 비율(60% 공약)은 지금도 (이미 있는) 원전 중에 제대로 못 쓰고 있는 게 있다. 이런 것들을 점검하고, 그동안 수리해놓고 안 쓴 것들도 빨리 가동을 시키면 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는 “김문수 후보야말로 현실을 모른다“면서 “RE100은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느냐 없느냐 관련이 없다. 이미 글로벌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로만 생산한 것만 산다’는 원칙을 정했는데, 우리만 못하겠다고 하면 수출을 못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가 너무 대책 없는 말씀을 한다”고 했다.
◇李 ‘원전 유지하되 재생에너지 중심’ 金 ‘원전 60%로 상향’
지난 대선 때 ‘감원전’을 공약했던 이 후보는 이번 대선에선 ‘원전 유지’로 방향을 전환했다. 다만 원전의 위험성을 고려해 “과하지 않게 활용하고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전환하자”는 입장이다. 원전 발전 단가가 낮은 만큼 ▲이미 계획한 원전 건설은 그대로 추진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점차 늘리자는 뜻이다. 또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을 폐쇄하고, ‘햇빛 연금’(태양광발전) ‘바람 연금’(풍력발전)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신재생 에너지 설비를 설치해 그 판매 수익을 주민에게 배당하는 모델이다.
김 후보는 원전 비중을 현재(32.5%)의 2배 수준인 60%로 끌어 올리겠다고 공언했다. 전력 생산에서 원전 비중을 60%까지 높여 ‘반값 전기료’를 현실화하겠다는 게 골자다. 원전 발전 비중을 높이면, 전기 생산 단가가 낮아져 산업용 전기요금을 인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윤석열 정부가 추진했던 ‘대형 원전 6기 건설’ 사업을 그대로 승계하고, 한국형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시기도 기존 2035년보다 앞당기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