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구조개혁’ 논의를 위한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가 8일 첫발을 뗐지만 특위 구성을 두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간 설전이 오갔다. 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재정안정화 장치’를 두고도 각 당이 충돌했다.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왼쪽부터 남인순, 모경종, 박홍배, 오기형 등 야당 위원들이 박수민, 김재섭, 우재준, 김용태 등 여당 위원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연금특위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제1차 전체회의를 열고 ‘위원장·간사 선임의 건’을 의결했다. 4선의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위원장에, 각 교섭단체 간사로는 국민의힘에서는 김미애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오기형 의원이 선임됐다.

위원들이 각자 특위에 합류한 각오를 밝히며 순조롭게 흘러가던 회의장은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전종득 진보당 의원의 특위 참여를 문제 삼으면서 소란스러워졌다.

우 의원은 “진보당은 자동안정장치 도입도 반대하고 있고 소득대체율은 43%도 모자라서 50%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렇다면 연금개혁 합의문의 ‘재정안정화 조치’에 대해 동의하는지, 동의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재정안정화를 시킬지 알고 싶다”고 했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문제가 된 발언이 이어졌다. 우 의원은 “이게 만약 없다면 연금특위 구성에서 이번엔 좀 빠져주는 것도 방법”이라고 하자 장내가 웅성였다. 우 의원은 또 강선우 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페이스북에 ‘연금개혁이 청년이 불리하다고요? 모르면 공부하고 알 때까지는 좀 입 다물고 있으십시오’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오늘도 그런 식으로 말한 것 같다”라고 했다.

이에 강 의원은 “상임위원회든 특위든 타 당의 위원 구성에 대해서 유감을 표하는 것을 처음 들었다”며 “제 의정활동 관련해서 공개적으로 비난을 한 점, 한 단어만 오려내서 이야기한 것 관련해서 사과를 받아야겠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도 “한 당의 특정 의원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한 사항과 국회의장이 선임한 위원에 대해서 나가라 말라 할 자격이 있나. 본인이 듣고 있는 청년 세대가 전부라고 인식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 관련 의사진행 발언하고 있다. /뉴스1

결국 우 의원이 “일정 부분 표현에 있어서 앞으로 조금 더 주의하겠다’며 유감을 표했다. 그러나 전 의원이 명확한 사과가 아니라면서 “마치 내란수괴 윤석열 입틀막을 보는 느낌”이라고 지적하고, 이에 국민의힘 의원들이 “그만하세요. 그게 여기서 왜 나와요”라며 반발해 회의장 분위기가 격앙됐다. 결국 윤 위원장이 “첫 회의니까 이해하면서 하자”고 마무리하면서 소란은 일단락 됐다.

각 당 합의문상 ‘재정안정화 장치’ 문구의 의미를 두고도 각 당은 충돌했다. 합의문에는 “연금재정의 안정과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재정안정화 조치 및 국민·기초·퇴직·개인연금 등의 개혁방안을 논의한다”고 명시돼 있다.

민주당 간사인 오기형 의원은 “연금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게 사실이다. 이에 대한 다양한 해법을 논의해야 하고 그 방법은 열려 있다고 본다. 국민연금에 대한 국고 투입도 논의를 구체적으로 해야 할 때가 됐다 본다. 다만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큰 시각에서 다시 볼 필요가 있고 재정투입 여력도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연금 국고 투입을 통한 수익률 제고’에 방점을 뒀다. 한국노총 출신인 같은 당 박홍배 의원은 “자동조정장치는 재정 안정을 명분으로 보험료율 인상이나 급여 하락까지 가져올 수 있다”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은 “당초 합의한 대로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비롯한 재정안정화 조치를 심도있게 논의하고 기초·퇴직·개인 연금 등 튼튼한 다층 연금체계를 구축해 실질적인 노후소득이 보장 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무게를 둔 것이다.

이에 남인순 민주당 의원이 “합의문에는 재정안정화 조치라고 돼 있다. 재정안정화조치는 보험료율을 올리 수도 있고 연기금 수익률을 높일 수도 있고 여러 방안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자동조정장치에 방점이 있었다. 다만 협의 과정에서 시간 끄는 것을 방지하고자 복지부가 대안 중 하나로 자동조정장치 조문 제목을 재정안정화 조치라고 한 것이다. 이런 부분은 더이상 언급 안 하길 바란다”고 재반박했다.

국회 연금특위에선 구조개혁안을 올해 말까지 논의한다. 연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재정안정화 장치부터 기초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의 국민연금 통합 등이 핵심 과제다. 앞서 국회는 지난달 20일 ‘보험료율(내는 돈) 13%·소득대체율(받는 돈) 43%’을 골자로 하는 국민연금 모수개혁안을 통과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