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0일 최근 집중호우로 침수됐던 광주 북구 용강동의 한 딸기 육묘장을 찾아 피해 농민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연합

김민석 국무총리는 20일 “이재민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총리실에 개설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폭우로 최근 2명의 실종자가 발생한 광주를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한 뒤, 이같이 발언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교 일대를 방문해 제방 유실로 인한 침수 피해 현황을 보고받았다. 당국은 지난 17일 이곳에서 사람이 떠내려갔다는 신고를 받고 수색하고 있다.

김 총리는 주민들을 만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위기를 하루빨리 수습하고 여러분이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가 모든 수단과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대응 과정에서 부족함이 있었다면 뼈아프게 되돌아보고 철저히 점검해 반드시 바로잡겠다”면서 “현장에서 답을 찾고 지역 실정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는 침수 피해를 본 딸기 농장을 방문해 현장 민원을 청취하기도 했다. 그는 ‘동일 면적인데도 시·군 재해보험료 차이가 4배 이상 차이난다’는 농민의 의견에 “일리가 있는 쟁의”라며 “합릐적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침수 농가가 조속히 재기할 수 있도록 피해 복구 지원과 함께 생계 안정, 영농 재개를 위한 현실적이고 신속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또 정부의 우선순위에 대해 질문에 “제일 급한 건 긴급 대피, 복구, 방역이고 기본적인 건 의식주 해결, 그 다음에는 긴급방재와 구조개선이 있다”면서 “작년에 당했던 것을 똑같이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장 방문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문인 광주시 북구청장, 더불어민주당 전진숙·정준호 의원이 동행했다.

총리실은 “수해 발생 직후부터 현장을 방문하려 했으나 공무원들이 재난 대응에 집중하는 게 우선이라는 판단 하에 비가 소강상태에 접어든 오늘 현장 점검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