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전환을 국민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에게 열린 자세로 경청하고 현장의 지혜와 역량을 정책에 반영하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화석연료에 기반한 탄소문명은 절박한 기후위기 상황을 야기했다”면서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숙제가 됐다”고 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꼭 필요한 에너지는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에너지 대전환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환경부 장관으로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사회·경제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탈탄소 녹색문명의 토대를 만들겠다”면서 “탄소중립 실현의 이정표를 세우겠다”고 했다.

그는 “전기차, 히트펌프, 재생에너지 등 탈탄소 산업을 집중 육성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태양광, 풍력, 바이오가스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 전환 모델을 발굴하고 지역주민과 이익을 공유해 인구 소멸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했다.

배출권 거래제 정상화도 약속했다. 김 후보자는 “배출권 유상할당 비율을 높여 배출권 거래시장의 탄소감축 기능을 강화하겠다”면서 “도전적이면서 실현가능한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2050 장기 감축 경로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기후 재난에 대해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를 고도화하고 대심도 빗물터널 등 도시침수 방지를 위한 홍수방어시설도 차질 없이 확충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에 용수공급 시설을 적기에 지원하겠다”면서 “물이 부족하고 관로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는 지하수저류댐, 해수 담수화 시설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대체수자원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했다.

지속가능한 순환 경제도 언급했다. 김 후보자는 “순환이용-원천감량의 순환형 경제구조로 전환해 지구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인류와 자연이 공존하는 새로운 모델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어 “금년 내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마련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노력에도 집중하겠다”면서 “재생원료 사용 의무를 확대하고 플라스틱·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제조·수입자 재활용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미세먼지 없는 푸른 하늘을 위해 대기오염총량제를 단계적으로 강화해 사업장 대기오염물질을 감축하겠다”고 했다.

그는 “생활 주변 배출사업장의 환경개선을 지원하는 국민 체감형 대기질 개선 사업도 추진하겠다”면서 “4대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겠다”고 했다.

이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문제도 근원적으로 해결하겠다”면서 “저소득층, 어린이·노인 등 민감·취약계층도 소외받지 않고 기본 환경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촘촘한 환경복지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