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뉴스1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해수부 부산 이전을 위해 드는 직접 비용이 200억원에서 300억원이 든다고 밝혔다.

전 후보자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해수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은 대한민국 성장 전략, 발전 전략으로 구상한 방안”이라면서 “다극체제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는 게 목표”이라면서 이 같이 말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이 정치적 도구가 아니냐’는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저는 중앙정부 이전을 정치적 도구를 삼아 정치할 사람이 대한민국에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반박했다.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의 “북극항로는 러시아 연안을 통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가는 건데, 한국의 수출 10위권에 유럽 국가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향후 5년, 10년 뒤 어떻게 될지 모른다”라고 말했다.

‘해수부 구성원 86%가 반대한다’는 김선교 국민의힘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해수부 직원들과 소통해서 주거여건, 교육문제, 교통비 문제 등을 고민해 풀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해수부의 단순한 부산 이전 뿐 아니라, 업무 확대, 복수 차관제 도입 등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전 후보자는 "산업부가 가지고 있는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해수부로 이전해서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같이 가지 않으면 해수부 이전의 시너지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면서 ”정부조직법을 개편해 복수차관제를 도입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 부처에 산재해 있는 섬 관련 정책 기능의 통합 문제와 관련해서도 “(통합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다”며 “관계기관과 잘 협의해서 가장 최적의 안을 만들어 내는 데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