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이 전년 동기 대비 14.6% 감소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투자가 미국으로 몰리고,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도 지속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신규 투자를 보류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가 131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14.6% 줄었다고 3일 밝혔다. 반면 실제 자금이 국내에 들어온 도착금액은 72억9000만 달러로 2.7%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그린필드 투자가 109억7000만 달러로 4.5% 감소했고, 인수합병(M&A)은 21억3000만 달러로 44.6% 줄었다.
국가별로는 상반기 EU의 투자신고가 22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했다. 지난해 12월 EU 기업이 해상풍력 프로젝트 입찰을 따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투자신고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20.2% 늘었다. 반면 일본과 중국의 투자신고는 각각 25.4%, 39%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투자가 53억3000만 달러로 34.5% 줄었다. 미국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투자가 미국으로 집중된 데다 국내 설비투자도 위축됐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전자(-61.6%), 기계장비·의료정밀(-77.0%) 등 장치산업에서 감소폭이 컸다.
반면 서비스업 투자는 70억9000만 달러로 10.6% 증가했다. 한국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한 유통(73.3%), 정보통신(9.4%) 업종에서 전년 동기 대비 투자신고가 늘었다.
올해 상반기 도착금액은 72억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7% 증가했다. 지난해 양호했던 투자신고 실적에 따라 기존에 신고된 투자 자금이 안정적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도착금액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감소폭(-54.1%)이 컸다. 특히 상반기 투자신고가 줄었던 전기·전자(-46.4%), 기계장비·의료정밀(-57.8%) 분야의 자금 도착 실적이 부진했다.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투자 집행이 지연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서비스업 도착금액은 대형 M&A 영향으로 51% 증가한 54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금융·보험(39.3%) 분야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외국인직접투자 흐름을 예단하기 어렵다”면서도 “신정부 출범과 미국 관세 불확실성 완화가 계기가 되어 상저하고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첨단산업 분야를 겨냥한 해외 IR과, 국내 진출 외투기업 대상 지역 순회 IR을 통해 투자를 독려하겠다”며 “5000만 달러 이상 대형 투자 유망 신고 건에 대해서는 일대일 밀착 관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