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81명의 사상자를 낸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피해를 입은 광주·전남의 경제 회복을 위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4일 ‘12·29 여객기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12·29 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9조에 따른 후속 절차로, 해당 법률은 피해지역의 문화·관광 회복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특별지원방안 수립을 국가의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참사 직후 무안공항 활주로가 일시 폐쇄되면서 공항 내 상업시설, 항공기 취급 업체, 지역 관광업계 등이 매출 감소와 경영난을 겪었다. 이에 지역사회는 피해 규모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이번 연구는 한국지역개발학회가 수행한다. 향후 6개월간 광주·전남 지역의 기초 경제 현황 및 업종별 피해 규모 분석, 현장 의견 수렴, 맞춤형 경제활성화 방안 마련 등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본다. 이를 위해 지자체 공무원, 지역 소상공인, 관광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간담회,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을 실시하고 지역연구기관과 상공회의소, 대학 등 민간 전문가 자문도 병행한다.
연구 결과는 피해 업종별 실질 효과가 기대되는 맞춤형 지원사업으로 구체화된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관계부처, 지자체와 함께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사업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은 국토부 12·29 여객기사고 피해자 지원단 주도로 추진되며, 지원단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6개 부처와 광주·전남 지자체, 민간 전문가와 협력해 연구를 총괄한다.
박정수 지원단장은 “항공사고는 단순한 항공 운송 차질에 그치지 않고, 지역경제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라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맞춤형 특별지원방안을 차질 없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