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내수 회복 지연과 수출 둔화로 인한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히 크다고 진단하고, ‘추경을 속도감 있게 마련하겠다’는 처방을 내렸다.
기재부는 13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이 여전한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대외 경제 상황에 대해선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 회복, 소비 활성화 및 취약계층 ·소상공인 지원 등을 위한 추경을 속도감 있게 마련·추진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 총력”하겠다고 했다.
지난달 발표된 주요 경기 지표를 보면 한국 경제의 부진한 모습이 드러난다.
4월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는 미국 관세장벽 여파가 가시화하면서 산업생산, 소비, 투자 부문에서 일제히 감소했다. 자동차(-4.2%)를 중심으로 광공업 생산은 0.9% 감소했다. 서비스업(-0.1%)과 건설업(-0.7%)도 줄며 전 산업 생산은 0.8% 감소했다.
지출 부문에선 소매판매가 0.9% 줄었다.
설비투자는 0.4%, 건설투자는 0.7% 감소했다. 두 지표는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8.4%, 20.5% 감소했다.
다만 정부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과 기업심리 실적 상승 등 기대 요인도 있다고 했다.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월보다 8.0p 올랐고,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도 전달보다 2.8p 상승했다.
고용지표는 5월 취업자 수가 24만5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2.8%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로 상승폭이 축소했다.
5월 금융시장은 주가 상승, 국고채금리상승, 환율 하락. 주택시장은 매매가격은 하락했으나 전세가격은 보합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