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와 고령화가 국내 소비둔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소비 둔화의 절반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영향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1일 ‘인구구조 변화가 소비 둔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민간소비 추세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2001년~2012년(3.6%)에 비해 2013~2024년의 추세 증가율(2.0%)이 연평균 1.6%포인트(p) 낮아졌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 같은 소비의 추세적 둔화에 가계부채, 소득 양극화 등 여러 구조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급격한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인구구조 변화로 2013년~2024년 중 소비 증가율이 연평균 0.8%p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 증가율 둔화(연 1.6%p)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인구구조 변화는 중장기 소득 여건, 평균소비성향 등 두 가지 경로로 소비 침체에 영향을 미쳤다. 중장기 소득 여건 측면에서는 인구수 감소와 인구구성 변화로 인해 노동 투입이 감소했고, 그 결과 성장 잠재력이 저하되면서 소비가 연 0.6%p 둔화됐다.

평균소비성향 측면에서도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저축 증대, 고령층 중심의 연령분포 변화로 경제 전체의 소비성향이 낮아져 소비를 연 0.2%p 둔화시켰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동현 한은 조사국 구조분석팀 차장은 “중장기 소득 여건에 따른 소비 증가율 둔화(-0.6%포인트)가 잠재성장률 하락에 미치는 영향과 매우 유사하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5~2030년 중에는 인구구조로 인한 소비 증가율 둔화 폭이 연 1.0%p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 지표는 계속 부진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평균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1~4월 소매판매는 2022년 2.1% 증가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 임기 중인 2023년 -1.4%로 줄어든 이후 지난해(2.0%)에 이어 3년 연속 감소했다.

한은은 경기적 요인에 따른 소비 둔화는 경기 대응책이 효과적이지만 추세·구조적 요인에 의한 소비 둔화 현상은 구조개혁이 적합한 해법이라고 진단했다.

박동현 차장은 “추세·구조적 요인에 의한 소비 둔화는 구조개혁이 해법”이라며 “2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 이후 자영업으로 과도하게 진입하지 않고, 상용 일자리에서 오랜 기간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2차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적자본을 적극 활용하면 노동투입 감소에 따른 성장잠재력 저하를 완충할 것”이라며 “노후 불안에 따른 소비성향 위축 완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