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5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제주항공 사고 항공기와 동일한 기종(B737-800)을 보유한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내년 1월 3일까지 정비이력과 운항·정비기록 실태 등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을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전 8시 서울시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5차 회의에서 “국토교통부는 이번 점검을 시작으로 항공기 운영체계 전반을 철저히 재점검하고 필요한 부분은 즉시 개선해 달라”고 당부했다.

점검 대상은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이스타, 대한항공, 에어인천 등 6개사다. 이들 항공사가 보유한 B737-800은 총 101대다. 국토부는 B737-800의 정비이력과 운항·정비기록 실태를 전수점검하고, 조종사 교육·훈련 실태, 비정상 상황 보고 체계 등 항공기 운영체계에 대한 특별 안전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국토부는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 항공기 제작사 보잉 등이 항공철도조사위원회에 참여해 원인조사에 착수했고, 조사 진행상황을 국민께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유가족 지원과 사고원인 규명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유가족분들의 뜻에 부합하는 장례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내 가족의 일처럼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현장에 전문 상담인력을 배치해 유가족분들의 심리 안정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복지부 등 관계기관은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께 적시에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최 권한대행은 “현장 공무원들은 먼저 유가족께 다가가 어려운 부분이 없는지 여쭙고 소통을 강화해달라”며 “현장에서 지원기관 간에, 또한 유가족과 정부 간에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장관님들과 자치단체장들께서 직접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최 권한대행은 전날 충남 서산 해역에서 발생한 선박 전복사고에 대해서도 “해경청 등 관계기관은 실종자에 대한 수색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