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지난해 인력 효율화를 추진해 총 1만1374명의 정원을 감축하고 예산 역시 전년 대비 7000억원을 삭감해 편성했다고 발표했다.

기재부는 28일 ‘공공기관 혁신계획 2023년 이행 실적 점검 결과’를 내고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기획재정부 전경./기획재정부 제공

정부는 지난 2022년 7월 예산·정원·복리후생 감축, 불요불급한 자산 매각 등을 골자로 하는 ‘새 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능조정 및 조직・인력 효율화를 추진해 지난해 총 1만1374명의 공공기관 정원을 감축했다. 이는 당초 계획(1만1072명) 대비 102.7%에 해당하는 규모다. 일부 기관은 2024년 이후 계획을 지난해 조기 이행해 376명을 미리 감축했다.

아울러 기재부는 2022년에 8000억원의 경상경비를 절감했고, 345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23년 경상경비는 전년 대비 7000억원 삭감한 13조3000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다만 부동산 경기 부진으로 유휴부지 매각 등 일부 공공기관 자산 효율화의 이행률은 38.8%에 그쳤다. 기재부는 총 2조6000억원(409건)을 매각해 계획 금액이었던 6조8000억원(649건) 대비 금액 기준 이행률이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전체의 59.8%(4조1000억원)를 차지하는 용산역 부지(3조2000억원)와 인니 바얀리소스(9000억원)의 매각이 지연된 영향이 컸다.

기재부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된 상황에서 각 기관들이 적정가에 자산을 매각하려다 보니 매각 실적이 다소 부진하나, 해당 기관들은 향후에도 법령상의 매각 절차에 따라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복리후생 개선 부문에서는 문화여가비 감축, 고교학자금 폐지, 사내대출제도 개선 등 478건을 개선해 계획(636건) 대비 75.2%의 이행률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노사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 일부 지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