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한인마트에 갈 필요 없습니다.”
불과 15년 전만 해도 미국 소비자들은 화장품을 구매할 때 프랑스 브랜드를 찾았습니다. 한국 전자제품은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라고 생각했지요. 하지만 지금은 달라졌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17억달러(2조3783억원)로 프랑스를 넘어섰습니다.
이제 케이(K)브랜드는 월마트, 타겟, 아마존 등 미국 온오프라인 유통 매장의 주요 매대에 진열되고 있습니다. 2035년까지 미국 K뷰티 매출이 매년 6.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월마트와 타깃은 전국 매장에 K뷰티 전용 섹션을 운영하고 있지요. K푸드는 어떤가요. 이젠 한인마트를 찾지 않아도 미국의 대형마트에서 쉽게 한국산 김치와 라면, 만두를 찾을 수 있습니다.
K팝과 K드라마, K영화 등 한국의 문화와 생활양식이 전 세계인을 매료시키며 나타난 현상입니다.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기, 한국의 유통과 소비재 기업은 이 변화의 흐름에 어떻게 올라타야 할까요.
조선비즈는 오는 6월 11일 ‘2025 유통산업포럼’을 열고 급변하는 환경 속 유통업계의 생존과 성장을 모색합니다. 올해로 13회째 열리는 이번 포럼은 ‘불확실성의 시대, K브랜드가 답하다’를 주제로 유통의 미래를 진단합니다.
윌 와츠(Will Watts) W 글로벌 이노베이션 설립자가 기조연사로 나서 ‘미국 소매업계에서의 K-Wave’를 주제로 강연합니다. 앞서 월마트 식품안전협업센터에서 일한 윌 와츠는 “한국 브랜드가 미국 리테일 업계에서 ‘황금기’를 누리고 있지만, 성장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과 가치 사다리 상승과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새로운 카테고리에 대한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케일럽 힐(Caleb Hill) 쿠팡 애드비즈니스 부사장은 한국의 유통 시장과 소상공인 비즈니스를 혁신한 쿠팡의 성공 경험을 나눕니다. ‘로켓배송’이라는 빠른 배송 서비스로 국내 유통업계 선두 자리에 오른 쿠팡은 한국에서의 성공 방식을 대만에 주입하며 더 큰 성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신화숙 아마존글로벌셀링코리아 대표는 아마존이 보는 K뷰티 성공 전략을 소개합니다. 신 대표는 한국 브랜드가 세계 시장에서 질과 양, 모든 면에서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합니다.
이어 빅데이터 전문가인 송길영 작가가 ‘시대예보 : 로컬, 글로벌이 되다’를 주제로 우리의 로컬이 글로벌로 향하는 현장과 그 미래를 진단합니다. 최현정 스타벅스코리아(SCK컴퍼니) 식음개발담당은 스타벅스의 로컬라이제이션(현지화) 전략을 소개합니다. 스타벅스는 한국 소비자 및 지역에 맞는 특화 메뉴를 개발해 왔습니다. 스타벅스 해외 지사에서도 한국의 성공 비법을 전수해 간다지요.
오후에는 누노 게레이로(Nuno Guerreiro) 부킹닷컴 남북아시아태평양 디렉터가 ‘K브랜드와 여행자의 연결고리: 부킹닷컴의 AI 활용법’을 주제로 강연합니다. 이어서 노희영 식음연구소 대표는 K브랜딩 성공 법칙을 공유합니다. 노 대표는 30여 년간 브랜드 기획 및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마켓오, 비비고, 올리브영 등 200여개 브랜드를 기획했습니다.
공간과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죠. 김현수 이지스자산운용 공간솔루션실장이 ‘플레이스 메이킹 관점의 리테일’을 주제로 오프라인 리테일의 공간 전략을 나눕니다. 김 실장은 올리브영의 혁신 매장 ‘올리브영N 성수’가 있는 팩토리얼 성수를 기획했습니다.
이현진 유튜브쇼핑 한국 콘텐츠 파트너십 총괄은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쇼핑 서비스를 시작한 유튜브쇼핑의 전략을 소개합니다. 크리에이터 ‘소개팁’과 ‘스칼렛 언니’도 함께 합니다. 유튜브쇼핑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국내에서 2만5000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쇼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패널 토의도 마련했습니다. 김성준 시몬스 브랜드전략기획부문 부사장이 좌장으로, 콜린 마샬(Colin Marshall) 뉴요커 칼럼니스트와 K패션 브랜드 마뗑킴 운영사인 하고하우스 이준성 전략본부장, 최정희 앤더슨벨 대표, 이승민 어뮤즈 대표 등이 함께 지속가능한 K브랜드 전략에 대한 생각을 나눕니다.
유통산업의 미래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행사명: 2025 유통산업포럼
▲주제: ‘불확실성의 시대, K브랜드가 답하다’
▲일시: 2024년 6월 11일(수) 09:00~16:00
▲장소: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
▲참가비: 18만5000원(얼리버드 15만원)
▲주최: 조선비즈
▲접수·문의: 02-724-6051, event@chosunbiz.com
▲홈페이지: 조선비즈 유통산업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