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곤 삼성전기 MLCC 개발팀 상무가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열린 삼성전기 제품학습회에서 설명하고 있다./삼성전기 제공

“인공지능(AI) 서버와 전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부가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시장에서 삼성전기는 선두 기업과 비교해 핵심 소재와 두께 등 여러 강점을 갖추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도 아직 고부가 MLCC 시장은 진입을 못한 만큼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열린 삼성전기 제품 학습회에서 이민곤 삼성전기 MLCC 전장제품개발 담당(상무)은 이렇게 말했다. MLCC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반도체에 전기를 공급해 제품이 원활히 동작할 수 있도록 돕는 부품이다. 전자제품 안에서 신호 간섭을 제거해 전자제품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다.

AI 시장 개화로 MLCC 탑재량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시장 선두인 무라타제작소에 따르면 AI 서버에는 기존 서버 대비 10~20배 이상의 MLCC가 채용된다. 삼성전기도 최신 AI 서버에는 일반 서버 대비 10배 이상의 MLCC가 탑재된다고 설명했다. 이 상무는 “통상 AI 서버의 소비전력은 일반 서버 대비 7배 이상이고, MLCC 수량도 10배 이상의 MLCC가 필요하다”고 했다.

AI 서버의 경우 전력 소비량이 일반 서버의 5~10배 이상으로 더 많은 양의 MLCC 탑재가 요구되는데, 그중에서도 소형·초고용량 등 고부가 MLCC가 탑재된다. AI 서버의 핵심인 GPU 가까이 부착돼야 하는 MLCC의 실장 면적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 AI 서버는 GPU 모듈 여러 개를 실장한 기판을 쌓는 구조로 설계된다. 서버 하나에 수십 개의 CPU, GPU가 집적돼 발열량이 늘어 영상 105도의 고온에 사용할 수 있는 MLCC가 필요하다.

삼성전기의 MLCC 목업과 MLCC로 만든 모래시계./삼성전기 제공

삼성전기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에 탑재되는 MLCC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일 방침이다. 삼성전기는 AI 서버용 MLCC 시장에서 약 4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AI 서버 시장은 지난해 1429억달러(약 196조원)에서 오는 2030년 8378억달러(약 1150조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장용 MLCC 공급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BYD 등 중국 전기차 기업에 납품을 늘리고 있다. 전장용 MLCC는 IT 제품 대비 개발 기간도 3배 정도 소요되고, 가격도 3배 이상 비싼 고부가 제품이다.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인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은 고도의 전자제어가 필요해 고성능 MLCC 수요가 늘고 있다.

삼성전기는 지난 2021년 ADAS용 MLCC 2종을 개발하고, 지난 2022년에는 자동차 파워트레인용 MLCC 13종을 개발했다. 지난해에는 16볼트(V)급 세계 최고 용량 ADAS용 MLCC 2종과 2000V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전기차용 MLCC를, 올해에는 라이다용 MLCC 세계 최초품을 개발해 선보이는 등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MLCC의 핵심 원자재를 자체 개발 및 제조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MLCC 시장에서 핵심 기술인 세라믹 원재료 등을 직접 개발해 내재화한 기업은 극소수다. 이 상무는 “파우더와 같은 원재료의 품질도 우수하고, 두께도 얇아 한정된 공간에 다량을 탑재할 수 있는 유효 용량이 뛰어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