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SKT 공식매장을 찾은 시민이 상담을 받고 있다. /뉴스1

SK텔레콤(017670) 해킹 위약금 면제 기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동통신사 시장이 다시 과열되고 있다.

1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신고한 4월 22일부터 7월 12일까지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가입자는 79만3187명이다. 이 가운데 41만8817명은 KT(030200)로, 37만4370명은 LG유플러스(032640)로 옮겼다.

같은 기간 KT·LG유플러스에서 SK텔레콤으로 유입된 고객을 고려해도 SK텔레콤 가입자는 총 57만6037명 순감했다.

앞서 4월 말 하루 3만명대 중·후반까지 치솟았던 이탈 행렬은 점점 줄어들며 지난달에는 하루 순감 규모가 1만명 안팎으로 감소한 바 있다. SK텔레콤의 유심 교체 작업이 마무리되던 시점에는 신규 가입자가 이탈자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SKT가 오는 14일까지 위약금을 면제한다고 밝히면서 이탈자가 다시 늘고 있다. 7월 5∼12일 12만4414명이 SK텔레콤을 떠났다. 토요일인 전날은 하루 만에 가입자가 1만5288명 순감했다.

SKT는 가입자를 잡기 위해 8월 자사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이용자를 포함해 약 2400만명의 통신 요금을 50% 할인하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는 전 고객에게 매월 데이터 50GB도 제공한다.

KT와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 가입자를 흡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6월 중순 갤럭시 S25 기준으로는 통신 3사 모두 100만원이 훌쩍 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지난주에도 SK텔레콤이 100만원 선, KT·LG유플러스가 70∼80만원 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지난 7일 불법 보조금과 공포 마케팅을 이유로 KT를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하기도 했다. 5월에는 LG유플러스의 한 대리점이 SK텔레콤 해킹 관련 집단소송 신청을 대행해준다는 마케팅을 해 비판을 받았다.

업계는 7월에는 이통사 시장이 더 출렁일 것으로 본다. 15일 삼성전자 새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플립7 시리즈의 사전 예약이 시작된다. 22일에는 단통법이 폐지돼 보조금 경쟁이 한층 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