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 두 번째)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영상 SKT 대표이사, 강도현 2차관, 이진숙 방통위원장./뉴스1

SK텔레콤(017670)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가 우려되는 서버 3만3000대에 대해 세 차례의 조사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SK텔레콤 해킹 관련 청문회에 참석해 “피해가 우려되는 서버가 3만3000대 정도 있다”며 “그 부분을 세 차례 조사했고 네 번째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체적으로 기지국과 하드웨어 서버를 합치면 40만대 이상이 있어 진척률을 획일적으로 정리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최근 추가로 발견된 악성코드 8종이 기존에 해킹 피해를 당했던 홈가입자서버(HSS) 3대에서 발견된 것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상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은 이 같은 사실이 “맞다”고 답했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나 다른 민감한 개인정보 서버가 뚫리지 않은 것이 맞냐는 질의에 류정환 SKT 부사장은 “조사 중인 사항이기에 말씀드릴 수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