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해 이르면 이달 말부터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세는 초기에는 낮게 시작해 일정 기간 이후 고율로 인상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백악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 시각) 피츠버그에서 일정을 마친 뒤 워싱턴으로 돌아와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그는 “아마도 이달 말쯤 (관세가) 시작될 것”이라며 “우리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 제약회사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건설할 수 있도록 1년 정도의 유예기간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단계적 인상 방침을 강조했다.

외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도 의약품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질문에 “(의약품과) 비슷하다”며 “반도체는 덜 복잡하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아프리카와 카리브해 인근 등 이른바 “작은 나라들”에 대해 10%를 조금 넘는 상호관세율을 일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곧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해당 국가들에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부터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개 경제 주체(24개국+유럽연합)에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고, 내달 1일부터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그는 이날도 해당 일정을 재확인하며 이미 무역합의를 마친 영국·베트남·인도네시아 외에도 현재 5~6개국과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관련 언급도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 제공할 무기가 이미 선적되기 시작했다”고 밝히며, 해당 비용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이 부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에 미군을 파병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금리 정책과 관련해서는 내년 5월 임기가 종료되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후임 후보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거론된다는 보도에 대해 “선택지 중 하나일 수는 있지만, 그는 지금 일하는 걸 좋아한다”며 가능성을 낮게 봤다.

이란과의 핵협상에 대해서는 “이미 (이란의) 핵시설을 파괴했다”며 대화 재개를 서두를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