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각) BBC 뉴스에 따르면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교의 한 연구팀은 토마토가 물 부족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소리를 내면 암컷 나방들이 이 토마토에 알을 낳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팀은 2년 전에는 식물들이 고통을 겪고 있거나 건강하지 않을 때 특정한 소리를 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식물이 내는 소리는 인간에겐 들리지 않지만 곤충, 박쥐, 그리고 일부 포유류에는 들린다.
텔아비브대의 요시 요벨 교수는 “식물이 내는 소리에 동물이 반응하는 것을 입증한 첫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현 단계에서는 추측에 불과하지만, 온갖 종류의 동물들이 식물에서 들리는 소리를 바탕으로 꽃가루를 옮겨줄 것인지, 식물 안에 숨을 것인지, 식물을 먹을 것인지 등 결정을 내리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요벨 교수는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이번이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텔아비브대 릴라흐 하다니 교수는 BBC 뉴스에 “또 다른 연구 영역은 식물들이 서로에게 정보를 전달, 갈수기에 물을 아끼는 것과 같은 식으로 반응하는지 여부”라고 전했다.
그는 “이는 매우 흥미로운 질문”이라며 “만약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에 대해 가장 걱정이 많은 생명체는 다른 식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연구진은 식물들이 의식을 지닌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BBC 뉴스는 전했다.
식물들이 소리를 일부러 내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처한 여건이 변화해 물리적 효과가 발생해서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동물과 식물의 소리 정보가 서로에게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하다니 교수는 “식물들과 동물들이 이런 소리를 내고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공진화(共進化·coevolution)해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은 오픈 액세스 저널 ‘e라이프’(eLife)에 작년 12월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