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고위당국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른 나라와 무역 협상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오는 8월 1일 실제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8월 1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시한으로 제시한 시점이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 13일(현지 시각) ABC 방송 인터뷰에서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통보가 협상 전술인지 아니면 실제 관세를 부과하는지’ 묻는 말에 “대통령이 자기가 생각하기에 충분히 좋은 합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관세는 진짜로 부과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하지만 대화는 계속되고 있고, 우리는 어떻게 되는지 두고 보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해싯 위원장은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상호 관세율 30%), 멕시코(30%), 캐나다(35%) 등의 국가에 내달 1일부터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관세율을 발표한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하워드 러트닉(상무부 장관)과 나머지 무역 팀이 협상한 개략적인 합의를 일부 봤다”면서도 “대통령은 더 나은 합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브라질에 다른 나라보다 높은 50% 관세를 통보한 이유를 질의하자, 해싯 위원장은 “대통령은 브라질과의 협상, 그리고 브라질의 (정치적) 행동에 대해 불만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브라질 관세가 훨씬 높은 이유는 대통령이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과 관련된 불만 때문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앞서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가까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이 쿠데타 모의 혐의로 재판을 받는 것을 ‘정치적 박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브라질에 기존 상호 관세율 10%보다 40%포인트 인상한 50%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또 해싯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에서 구리를 재료로 각종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의 비용은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에 (구리를) 덤핑하는 나라들과 사람들이 이 관세의 대부분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