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오는 14일(현지 시각) 자동 발효될 예정이던 대미(對美) 보복 관세를 8월 초로 연기하기로 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EPA 연합뉴스

13일(현지 시각) AFP·AP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취재진에게 “해결책이 합의되지 않았을 때 발효할 조치를 담은 서한을 미국이 보냈다”며 “우리는 대응 조치 유예를 8월 초까지로 연장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지금은 협상해야 할 때”라며 “협상을 선호한다는 점을 (트럼프 행정부에) 분명하게 밝혀 왔다. 8월 1일까지 남은 시간을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폰데어라이엔 위원장 앞으로 발송한 서한을 올리고 EU에 오는 8월 1일부터 30%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와 관련해, EU는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고자 1차 보복 조치를 마련했다. 총 210억유로(약 33조9000억원) 상당의 주요 미국산 수입품에 10% 또는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이 핵심인 1차 보복 조치는 14일 0시부터 자동 발효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 관세를 90일 유예하고 대미 협상이 본격화하면서 EU는 1차 대미 보복 조치 시행을 90일간 보류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완벽하게 준비하도록 대응책을 계속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EU 통상 장관들은 오는 14일 브뤼셀에서 회의를 열고 대응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EU 내에서는 미국의 관세에 얼마만큼 강경하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놓고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장관은 이날 독일 매체 쥐트도이체차이퉁(SZ)의 인터뷰에서 “미국과 진지하고 해결 지향적인 협상이 여전히 필요하다”면서도 “협상에 실패한다면 유럽 내 일자리와 기업 보호를 위한 단호한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지난 12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EU에 “유럽의 이익을 결연히 수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