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금리 전망도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 뉴욕증시가 18일(현지 시각) 보합권에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4.14포인트(0.1%) 내린 4만2171.6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85포인트(0.03%) 하락한 5980.8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5.18포인트(0.13%) 오른 1만9546.27에 각각 마감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4.25~4.50%로 동결했다. 시장 예상에 부합한 결정이었으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재확인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경제의 향후 전개를 더 지켜본 뒤 정책 조정을 검토하겠다”며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밝혔다.
연준 위원들은 수정 경제전망(SEP) 점도표에서 올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할 가능성을 유지했다. 이에 대해 시장은 기존과 큰 차이가 없는 입장으로 받아들였으며, 주요 지수 역시 제한된 폭의 변동에 그쳤다.
스파르탄캐피털증권의 피터 카딜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이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확신할 때까지 정책을 바꾸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이를 반복 강조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투자자들은 연준보다 중동 정세에 더 주목하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 핵시설에 대한 미국의 군사 개입 가능성에 대해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혀 여전히 상황이 유동적임을 시사했다. 앞서 이란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는 “이란은 항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채권시장도 보합세를 나타냈다.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4.39%로 전날과 동일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은 7월 FOMC 회의까지 금리 동결 가능성을 89.7%로 반영해 전날보다 6%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9월까지 동결 확률은 31.7%로 하락했다.
상품시장에서는 국제 금값이 소폭 상승했다. 뉴욕선물거래소에서 금 선물(근월물) 종가는 온스당 3,408.1달러로 전장 대비 0.03% 올랐다. 국제유가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ICE 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는 배럴당 76.70달러로 0.3% 상승했고,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75.14달러로 0.4%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