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모습. /뉴스1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러시아 국경일(6월 12일)을 맞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축전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북한 측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내온 친서 수령은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에게 보내는 축전을 “신홍철 러시아 연방 주재 우리나라 특명전권대사가 러시아 외무성 해당 일군을 만나 정중히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인 축전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북러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시작으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해 전면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나아가자는 김 위원장의 의지가 표명된 내용이 담겼을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에도 러시아 국경절을 맞아 푸틴 대통령에게 축전을 보낸 바 있다. 김 위원장은 과거 축전에서 “조로 친선은 두 나라의 소중한 전략적 자산”이라며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맞게 선린 협조 관계를 끊임없이 승화 발전시켜나가는 것은 공화국 정부의 확고부동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11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활동하는 북한 외교관들이 북미 대화채널 복구를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친서의 수령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익명을 요구한 고위급 소식통을 인용, 친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 재개를 목표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낼 친서의 초안을 작성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하지만 친서를 전달하려는 여러 차례 시도에도 불구하고 뉴욕 맨해튼의 북한측 외교관들이 수령을 거부했다고 이 소식통은 말했다. 북한 외교관들은 이른바 뉴욕채널로 불리는 주유엔 북한대표부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미 국무부는 관련 질의에 “잠재적 외교 대화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는다”면서 백악관에 직접 문의할 것을 권했으나, 백악관 역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고 NK뉴스는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