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反)유대주의를 이유로 하버드 대학교를 압박하는 가운데 미국의 주요 대학들이 이를 피하기 위해 백악관과 물밑 접촉을 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31일(현지 시각) CNN에 따르면 미국 일부 대학의 고위 관계자들은 최근 몇 주 동안 백악관과 접촉해 트럼프 행정부의 표적이 되지 않기 위해 어떤 신호를 보내야 하는지 의논하고 있다.
이들은 백악관 고위 정책전략관인 메이 메일먼과 최근 몇 주 동안 세부적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메일먼은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 담당 부비서실장과 밀접하게 협력하는 인사다. 밀러 부비서실장은 캠퍼스 내 유대인 혐오 발언, 시위에 대한 대응을 대학들이 제대로 하지 않는다며 압박하는 전략을 설계했다.
백악관은 대학들이 차별의 온상이며, 미국 납세자가 이를 지원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대학 지도자들에게 “자금은 예전처럼 흘러갈 수는 없다”고 전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백악관은 로펌들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프로그램이나 반유대주의 시위에 선 긋는 협약을 맺은 것처럼, 대학들에도 유사한 협약을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백악관의 한 당국자는 CNN에 “실질적 조처를 하지 않고 말로만 약속하는 대학과는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많은 학교가 협상을 원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그들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법무부 내 반유대주의 태스크포스(TF)가 주도하고 있다. 이 TF는 폭스뉴스 진행자 출신인 레오 테렐 법무부 선임 고문이 이끌고 있다. 밀러 부비서실장과 메일먼도 TF의사 결정에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 중에서 먼저 나서서 트럼프 행정부와 이러한 협약을 맺은 곳은 아직 없는 상태다.
한 명문대 이사는 “우리는 그들(행정부)의 ‘시범 학교’(modelschool)가 되는 데 관심이 없다”면서 “우리 핵심 가치를 망가뜨리겠다는 결정을 하지 않는 한 행정부와 싸울 필요도 전혀 없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우리는 싸울 준비가 돼 있지만, 그게 행정부를 도발해야 한다는 뜻도 아니다”라고 했다.
일부 대학들은 정치 컨설턴트와 전문가를 고용하고 있다. 하버드대의 경우 공격적인 법적 전략을 수립하고 동문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