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당국이 미국에 유학하려는 학생에 대해 소셜미디어(SNS) 심사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연합뉴스

27일(현지 시각) 미국의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와 같이 보도하며 미국 국무부가 제도 도입을 위해 전세계 외교 공관에 유학생 비자 인터뷰를 일시 중단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SNS 심사 및 검증 확대를 준비하기 위해 영사 부서는 추가 지침이 담긴 별도 전문이 발표될 때까지 비자 인터뷰 일정 추가를 즉시 중단하라”고 전했다.

단, 이미 예약된 인터뷰는 예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성명 전문에는 인터뷰가 일시 중단되는 비자의 종류로 ▲미국 대학 유학·어학연수생 비자(F) ▲직업훈련생 비자(M) ▲교육·예술·과학 분야 교환 연구자·학생 비자(J) 등 3종류의 비자가 명시됐다.

앞서 2023년 10월 가자전쟁 발발 이후 미국 대학에서 반(反)유대주의 및 친(親)팔레스타인 시위가 잇따르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시위에 참여한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SNS 심사 요건을 도입, 반(反)이스라엘 활동에 참가한 유학생과 연구원의 비자를 대거 취소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미국은 자국에서 유학하려는 외국인 학생에 대해서도 비자 발급 여부를 결정짓기 위해 SNS 활동 심사를 진행하고, 그 범위를 명확히 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반유대주의를 넘어 반미(反美) 혹은 트럼프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하는 SNS 게시물도 심사대에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 20일 루비오 장관은 미국 의회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서 “비자는 권리가 아닌 특권”이라며 “손님으로 와서 우리 고등교육 시설에 지장을 주는 이들의 비자를 계속 취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