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 이란의 핵시설을 독자적으로 타격할 준비에 돌입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CNN이 2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이스라엘의 군 통신 감청 등을 통해 이 같은 정보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은 핵시설 공격을 위한 무기 이동과 공군 훈련을 완료한 상태로 전해졌다. 다만 실제 공격이 임박했다기보다는 이란에 대한 심리적 압박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스라엘 정부가 최종 결정을 내렸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 정부 내에서도 이스라엘의 군사행동 가능성에 대해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과 우라늄 농축 능력을 충분히 제한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핵 협상을 마무리할 경우, 이스라엘이 협상을 무산시키기 위해 선제공격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스라엘은 과거부터 이란의 핵시설 타격 계획을 수립하고 공습 훈련을 지속해왔다. 지난해 테헤란 외곽 군사기지와 미사일 생산시설 등을 폭격하며 이란의 방공망에 상당한 타격을 입힌 바 있다. 또한 시리아 내 군사시설을 폭격해 시리아 영공을 통한 접근 경로도 확보한 상태다.
레바논 무장정파 하마스를 비롯한 이란 연계 무장세력들도 잇따른 공습으로 타격을 입었고, 이란은 경제 제재와 군사적 압박으로 전례 없이 군사력이 약화된 상황이라고 CNN은 전했다.
그러나 이란 핵시설에 대한 직접 공습은 중동 전면전을 촉발할 수 있어 미국 정부도 민감하게 반응해왔다. 트럼프 행정부 역시 최근 중부사령부 사령관을 이스라엘에 파견해 신중한 대응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핵시설 공격이 현실화될 경우 국제 유가 급등 등 글로벌 경제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제로 CNN 보도 직후 국제유가는 한때 3% 이상 상승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이 공습을 결행할 가능성에 대비해 정보 수집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나 공식적으로는 이란의 중대한 도발이 없는 이상 군사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도 병존한다.
지하 깊숙이 위치한 이란 핵시설을 파괴하려면 미국의 벙커버스터와 공중 급유 등 전폭적인 군사 지원이 필요하다. 미국의 행동 여부에 따라 이스라엘의 최종 결정도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과 이란은 지난달부터 오만의 중재로 4차례 협상을 진행했지만, 이란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2018년 이란 핵합의(JCPOA) 탈퇴 후 제재를 복원하자 이란은 우라늄 농축 수위를 60%까지 끌어올린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