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미국에 포괄적 무역 합의가 체결되는 즉시 특정 부문에 적용된 선제적 관세를 면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1일(현지 시각) 폴리티코 유럽에 따르면 EU는 관세협상 시한 전 큰 틀에서 합의를 체결하고 이후 세부 협상 진행 과정에선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약속을 미국 측에 요구하고 있다. 해당 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 어떤 합의도 불가능하다는 것이 다수 EU 회원국들의 입장이다.

EU는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가 회원국 27개국에 대한 무역정책 전권을 가진다. 그러나 대외 협상 시에는 회원국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관례로 여겨진다.

회원국들은 10% 기본관세를 유지하되 포괄적 합의 체결 시점부터 자동차·철강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를 면제할 것을 주문했다. 이는 앞서 영국과 미국 간 이뤄진 합의 방식과 유사하다.

EU 회원국 대사들은 전날 열린 비공개회의에서도 곧 방미를 앞둔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에 강경한 입장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고 전해진다.

셰프초비치 집행의원은 3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미국에서 만날 예정이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관세 인하를 바라지만, 특정 조건이 수반될 시에 기본관세 유지를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EU 회원국 간 입장차가 집행위의 협상력을 낮추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예컨대 독일은 협상 조건이 불충분하더라도 일단 신속한 합의 체결을 우선시하는 반면, 프랑스는 불균형한 조건을 수용해선 안된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가 이를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트럼프가 중국과 분쟁 일시 휴전, 영국과의 무역 합의를 이끌어낸 데 이어 이란 공습 등 가시적 외교 성과를 이뤘다고 자평하는 상황에서 추후 더 강경한 방향으로 협상을 진행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