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7일(현지시간) “새 정부는 한·미 협상을 최우선 순위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번 협상은 단순한 관세 협상이 아니라 향후 한·미 협력의 틀을 새롭게 구축할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미국은 지난 4월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를 7월 8일까지 유예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현재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와 무역 협상을 하고 있다.
여 본부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그동안 국내 정치적 상황으로 한·미 협상이 지체됐지만 지금부터 실용주의와 국익 극대화라는 관점에서 상호호혜적 합의안을 도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협상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다만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대해선 “안심하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 아직 엄중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긴박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7월 8일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한국 정부가 이에 포함될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이 관계자는 평가했다.
여 본부장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고위급 통상 협상을 위해 지난 22일 워싱턴 DC를 방문했다. 여 본부장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회 의장 겸 내무장관 등 미국 정부 인사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제이슨 스미스 하원 세입위원장, 토드 영 상원의원 등 미 의회 주요 인사들을 만나 관세를 포함한 한미 주요 통상 현안을 논의했다.
여 본부장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그간 한미 양국이 쌓아온 협력 모멘텀이 약화하지 않도록 미국 측과 치열하게 협의해 당면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이어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전기차, 배터리, 조선, 군수, 원자력 등 다양한 제조 분야에서 한미가 상호호혜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미국 측으로부터 굉장히 적극적인 호응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박정성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이 실무 대표로 나선 한국 대표단에는 산업부 외에 유관 부처 관계자들도 참여했다. 한미 대표단은 앞서 진행된 1∼2차 실무협상을 통해 구체화한 쟁점들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대표단은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25% 상호관세와 자동차와 철강 등에 대한 품목 관세를 철폐하거나 최대한 줄이는 방안으로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외신 인터뷰에서 오는 9월 1일까지 무역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다고 했다. 중요한 교역국 18곳 중 10곳 이상의 국가와 합의에 근접했다고 그는 시사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오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유예 조치에 대해 “연장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며 무역 상대국에게 서하늘 보내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