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 /로이터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이란 간 무력 충돌이 4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양측 간 긴장 고조가 완화될 수 있다는 낙관론이 부상하면서 16일(현지 시각)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7.30포인트(0.75%) 오른 4만2515.0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56.14포인트(0.94%) 오른 6,033.1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94.39포인트(1.52%) 상승한 19,701.21에 각각 마감했다.

위험선호 심리가 다시 살아나며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테슬라와 구글은 각각 1.17% 상승했고, 엔비디아는 1.92% 올랐다. 메타플랫폼은 자사 메신저 서비스 왓츠앱에 광고를 도입할 것이란 소식에 2.9% 뛰었다. US스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를 승인한 영향으로 5.1% 급등했다.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는 한풀 꺾이는 분위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란이 미국과의 핵 협상 복귀 가능성을 아랍국가 당국자들에게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그 조건으로 미국이 이스라엘의 대(對)이란 공격에 참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로이터 통신은 이란이 이스라엘과의 휴전을 위해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등 걸프지역 국가들에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다우지수는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과 이란의 미사일 보복 여파로 1.8% 급락한 바 있다.

국제유가는 중동 정세가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선물 근월물 종가는 배럴당 73.23달러로 전장보다 1.35% 떨어졌다. 브렌트유 가격은 지난 13일, 무력 충돌 소식에 하루 만에 7% 급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