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트럼프’로 불리던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가 공화당의 대선 후보 경선을 포기하면서 미국 뉴욕증시에서 ‘트럼프 테마주’가 급등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과 블룸버그 통신 등이 2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외신 보도를 종합하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디지털 월드 애퀴지션(DWAC)은 전날 나온 디샌티스 주지사의 전격적인 경선 포기 소식에 힘입어 88% 폭등했다. DWAC 주가는 이날까지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면서 175% 급등, 49.69달러로 2022년 5월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DWAC는 2021년 10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의 모회사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TMTG)과의 합병을 발표했으나 이후 규정 위반 등의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2021년 1월 6일 지지자들의 미국 의사당 난입 사태로 트위터 이용이 금지되자 미디어 기업 TMTG를 설립하고 트루스 소셜 플랫폼을 열었다.그러나 트위터를 인수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금지를 취소한 뒤 수개월 후 엑스(X, 옛 트위터)로 돌아왔다.
DWAC 측은 올해 1분기에 TMTG와의 합병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그러나 트루스 소셜이 2022년 2월 첫 선을 보인 뒤 지난해 상반기까지 총 7천300만달러(1천억원)의 손실을 냈다고 지난해 11월 전한 바 있다.
보수 성향 유권자들에게 인기 있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럼블(Rumble)의 주가도 이날 36% 급등해 4.89달러를 기록했다. 또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펀웨어(Phunware)는 41% 급등한 36센트로 상승했다. 이 업체는 트럼프의 2020년 재선 도전 때 전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날 급등으로 DWAC의 시가총액은 18억5천만 달러(약 2조5000억원), 럼블은 13억7천만 달러, 펀웨어는 1억2000만 달러가 됐다. 스팩에 초점을 맞춘 펀드를 보유한 ‘액셀러레이트 파이낸셜 테크놀로지스’의 줄리언 클리모흐코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에 이들 주식이 투기 수단에 가깝다면서 “시장이 완전히 미쳤다”라고 말했다.
한편 디샌티스 주지사는 21일(현지 시각) 엑스 계정에 올린 영상을 통해 사퇴를 발표했다. 해당 영상에서 디샌티스 주지사는 “이 캠페인(공화당 경선 유세)은 끝났지만, (나의) 임무는 계속된다”면서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