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올 여름 ‘카브라보(CarBravo)’라는 이름의 온라인 중고차 거래 플랫폼을 선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로 신차 공급이 줄어들며 급성장한 중고차 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것이다.

미국 완성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올해 여름 선보일 중고차 거래 플랫폼 카브라보(CarBravo)의 로고. /GM

GM은 카브라보를 통해 자사 브랜드인 3800대의 쉐보레와 뷰익, GMC 딜러들이 보유한 차량과 자동차 금융 자회사 GM파이낸셜이 렌터카 업체로부터 회수한 차량 등을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GM의 고급 브랜드 캐딜락은 자체적인 중고차 판매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현재 GM 미국 딜러들이 보유한 중고차 재고는 40만 대 규모다. GM은 이 플랫폼에서 자사 차량과 다른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도 함께 판매할 계획이다.

GM이 중고차 시장에 뛰어드는 건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며 발생한 글로벌 반도체 대란은 신차 생산 차질로 이어졌다. 중고차 수요가 크게 늘었고 지난 18개월 동안 중고차 가격은 급등했다. 로이터통신은 미국의 연간 중고차 판매량이 신차의 두 배에 달한다고 전했다. 스티브 칼라일 GM 북미 사장은 “중고차 시장은 지난 5년 간 꾸준히 성장했다”며 “수요가 꾸준하고 신차보다 경기 침체에 덜 취약하다”고 했다.

WSJ은 GM의 중고차 사업 진출로 미국 최대 중고차 판매업체 카바나와 글로벌 중고차 업체 카맥스, 온라인 중고차 기업 부룸 등 기존 시장에서 새로운 경쟁 구도가 형성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카바나의 보유 차량은 5만5000대 수준이다. 재고만 비교해도 카브라보가 7배 이상 많다. 칼라일 사장은 “카브라보가 기존 업체들보다 훨씬 많은 대리점과 재고를 보유할 예정”이라며 “경쟁하는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고 했다.